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요술

다른 표기 언어 conjuring , 妖術

요약 여러 가지 도구나 기계장치, 손재주를 사용하여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묘기를 꾸며 보여주는 기술이나 그 행위.
prestidigitation, sleight of hand라고도 함.

요술사는 눈속임을 위해서 사람들의 심리를 교묘한 손재주와 결합시키는 배우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기술을 표현하는 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용어인 요술 또는 마술은 일찍이 그 의미에 있어서 초자연적인 힘이나 존재와 연관이 있었다. 그러나 중세에 이르러 이 요술은 연예의 한 형태로 자리잡았다. 15~16세기에는 떠돌이 약장수나 방랑시인이 장터 또는 귀족의 집이나 농장의 큰 헛간 같은 곳에서 자신의 묘기를 공연했다.

18세기에 이르러서는 주세페 피네티, 필리포 토리니, 필리프 브레슬로, 아이작 포크스와 같은 명사가 나타남에 따라 요술은 무대 연예로 떠올랐다.

19세기는 토리노 바르톨로메오 보스코, 필리프(자크 앙드레 노에 탈롱), 장 외젠 로베르 우댕, 헨리 로빈, 존 헨리 앤더슨, 컴파스 허먼과 알렉산더 허먼과 같은 요술사의 출현으로 요술의 문예부흥기를 이루었다. 1845년 로베르 우댕의 비주 요술극장이 파리에서 문을 열었으며, 그는 뛰어난 묘기를 보여주었을 뿐 아니라 처음으로 요술의 기본 원칙과 요술의 심리에 관한 책을 저술했다. 로베르 우댕 이외에도 앤절로 루이스, 네빌 매스컬라인, 다비드 드방 같은 사람들도 요술에 관한 책을 썼다. 1900~30년 본격적인 요술 디너 쇼가 발달했는데 이무렵에 활동한 유명 요술사로는 하워드 서스턴, 해리 후디니, 해리 블랙스톤 등이 있었다. 1950~60년대에 요술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줄어들자 도 헤닝, 리처드 로스, 마크 윌슨 및 여러 사람들은 종종 요술을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에 내보냄으로써 요술을 부흥시키는 데 기여했다.

요술의 기술은 부분적으로는 눈속임을 위하여 손을 재빨리 움직이는 데에 달려 있다. 요술사는 자신의 손을 움직이는 모습에 집중해야 하고, 정확한 동작과 리듬을 능숙하게 보여주어야 한다. 요술사가 쓰는 장비에는 3가지 형태가 있는데, ① 관객에게 보이는 모양 그대로의 장비, ② 겉모양은 그대로 두고, 묘기를 부릴 때 도움이 되도록 비밀리에 준비된 장비, ③ 눈에 보이지 않으며 관객이 알지 못하게 사용하는 장비 등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연극

연극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요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