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요르크 바르텐부르크

다른 표기 언어 Johann (David Ludwig), Graf Yorck von Wartenburg
요약 테이블
출생 1759. 9. 26, 프로이센 포츠담
사망 1830. 10. 4, 슐레지엔 클라인욀스
국적 프로이센

요약 프로이센의 육군원수, 개혁가, 해방전쟁(1813~15)의 개선장군.
Yorck는 York, Johann은 Hans라고도 씀.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중에 러시아와 개별적인 중립협정(타우로겐 협약 : 1812) 체결을 주도해 프로이센이 반나폴레옹 동맹국에 가담할 토대를 마련했다.

1772년 프로이센 육군에 들어갔으나 1779년 명령불복종죄로 면직당했다. 네덜란드군에 들어가 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에서 복무했는데, 거기서 소전투와 야전 전투대형을 능숙하게 익혔다. 1787년 프로이센군에 복귀해 1794년 폴란드에서 싸웠고 1806년 10월 예나에서 나폴레옹에게 완패당한 프로이센 후위군을 성공적으로 지휘했다.

1807년 소장으로 승진해 경보병대의 감찰관으로 프로이센 군대재편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훌륭한 전술가로서 육군 전술교관이 되어 보병정찰과 소전투대열에 관한 전술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보수주의 성향을 지녀 아우구스트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 장군이 제안한 자유주의 군대개혁을 반대했다. 1812년 러시아를 침입한 나폴레옹군에 합세한 프로이센 분견대를 이끌었다. 나폴레옹이 참패하고 후퇴하는 동안 러시아와 타우로겐 협약을 체결해 자기 부대의 중립을 지켰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처음에는 그의 조치를 공식적으로 거부했으나 마침내 칼리슈 조약(1813. 2. 28)에 서명했는데, 이로써 요르크의 행동은 정당화되었고 프로이센은 동맹국에 가담했다. 이어서 벌어진 전쟁에서도 그는 다시 한번 두드러진 전과를 올렸고 1814년 바르텐부르크 백작작위를 받았다. 평화조약이 맺어진 뒤에도 계속 군에 남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요르크 폰 바르텐부르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