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요르단의 역사

다른 표기 언어

이스라엘과 함께 역사적으로 팔레스타인이라고 알려진 지역에 자리잡고 있어서 대부분의 역사가 이스라엘과 뒤섞여 있다. 사람이 살게 된 시기는 아득히 먼 전기 구석기시대로 거슬러올라간다. 요르단에서 가장 오래된 국가는 BC 13세기 이후 존립했던 기드온·암몬·모압·에돔 등이다.

다윗과 솔로몬 시대(BC 1000경)에 지금의 요르단 동부 대부분은 이스라엘 왕국에 복속되었다. 그후 다른 중동지역과 함께 아시리아·바빌로니아·페르시아에 차례로 넘어갔으며, BC 330년 무렵부터는 셀레우코스 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셀레우코스 왕조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서로 싸우는 사이에 아랍어를 쓰는 나바테아인이 요르단 동남부에 왕국을 세웠다. 이 왕국은 BC 64∼63년 로마인들에게 정복되었고, 7세기에는 이슬람교도인 아랍인들에게 넘어갔다.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프들은 다마스쿠스를 수도로 삼았고, 아바스 왕조 때는 바그다드로 옮겼다. 그 이후로 요르단 지역은 권력의 중심지에서 멀어졌으며 주민들은 서서히 베두인족의 유목생활로 되돌아갔다. 1099년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함으로써 예루살렘에 도읍한 라틴 제국이 요르단 강 동쪽까지 영토를 넓혔다. 16세기에 요르단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어 다마스쿠스의 관할 아래 들어갔다.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은 아라비아로 오가는 길을 보호하기 위해 체르케스인·카프카스인을 비롯한 여러 지역의 난민들을 요르단에 정착하게 했다. 요르단은 1920년 트란스요르단이라는 이름으로 팔레스타인과 함께 영국의 위임통치령이 되었고, 아브둘라 이븐 후세인이 영주(군최고사령관)로 임명되었다. 1948년까지 영국의 위임통치가 계속되긴 했으나 트란스요르단은 밸포어 선언의 대상에서 제외된 후 1927년 입헌국가로 독립했다. 1949년 독립한 이스라엘과의 휴전으로 요르단은 웨스트뱅크를 합병했으나 1967년 6일전쟁 후 이스라엘에게 빼앗겼다. 1970∼71년 요르단은 정부군과 요르단에 주둔하는 팔레스타인 게릴라 사이의 전투로 쑥밭이 되었다. 전투는 정부군이 팔레스타인 게릴라군을 요르단에서 몰아냄으로써 끝이 났다.

요르단 페트라

ⓒ Oleg Znamenskiy/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중동

중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요르단의 역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