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왕후

다른 표기 언어 王煦
요약 테이블
출생 1296(충렬왕 22)
사망 1349(충정왕 1)
국적 고려, 한국

요약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본성은 권(權), 초명(初名)은 재(載). 몽골명은 퉈환[脫歡]이다.

아버지는 정승 권보(權溥)이다. 형 준(準)도 과거에 급제하여 충선왕의 신임을 받았다. 가문을 배경으로 과거를 거치지 않고 낭장(郎將)에 제수되었으며 곧 삼사판관(三司判官)으로 전임되었다. 충선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아들로 삼아 왕후라는 성명을 하사받고 종실의 일원으로 대접받았다. 1308년(충렬왕 34) 충렬왕이 죽고 충선왕이 다시 왕위에 오르자 사복부정(司僕副正)을 거쳐 사헌집의(司憲執義)가 되었으며, 충선왕의 선위로 충숙왕이 왕위에 오른 후 1314년(충숙왕 1) 삼중대광 계림부원군(三重大匡鷄林府院君)이 되고 1316년에는 20세의 나이로 부원대군(府院大君)에 봉해지자 사람들이 왕의 아우라 칭했다.

이후 상왕(上王)으로 원나라에 있던 충선왕의 요청으로 다시 원나라로 가서 황태자의 시그루치[速古赤 : 侍子]가 되고 계림군공(鷄林君公)의 작위와 함께 전택(田宅)을 하사받았다. 1320년 고려인 환관 파앤투구스[伯顔禿古思]의 모함으로 충선왕이 토번(吐藩)에 유배되었을 때 왕을 대신하여 가겠다고 하여 원제(元帝)를 감동시켰으며, 충숙왕이 원나라로 불려가 억류된 상태에서 심양왕 고(瀋陽王暠 : 王暠)의 세력이 커지자 많은 사람들이 왕을 배반했으나 홀로 의를 지켰다.

1323년 문객 2, 3명을 데리고 토번으로 가서 충선왕을 만났는데, 마침 조서를 받들고 왕을 맞으러 온 사신을 만나 왕을 모시고 원나라의 서울로 돌아왔다. 1325년 충선왕이 죽자 최마복(衰麻服)을 입고 영구를 모시고 고려로 돌아왔으며, 초하루와 보름마다 능에 가서 사제(私祭)를 올렸다. 1342년(충혜왕 복위 3) 충선왕이 죽은 지 20년이 되도록 시호가 없으므로 원나라로 가 시호를 청하고, 아울러 충숙왕의 시호도 받아 돌아왔다.

1344년 충목왕이 즉위하게 되자, 그의 매부인 이제현(李齊賢)과 함께 개혁을 추진하고자 했다. 그해 3월 최문도(崔文度)와 함께 성절사(聖節使)로 원나라에 다녀왔으며, 10월에는 수상인 우정승(右政丞)이 되어 정방(政房)을 혁파하고 인사권을 전리사(典理司)와 군부사(軍簿司)에 귀속시키고 녹과전(祿科田)을 복구·정비하는 등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갔다.

그러나 정방은 혁파된 지 1개월 만에 다시 설치되고 녹과전의 복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개혁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1345년(충목왕 1) 12월에는 우정승에서 파직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12월에 입조(入朝)하라는 원 순제(順帝)의 명에 따라 원나라에 들어가 황제로부터 직접 폐정을 바로잡으라는 당부를 받고 1347년 김영돈(金永旽)과 같이 돌아와 다시 개혁을 추진했다. 그해 2월 정치도감(整治都監)을 설치하여 김영돈·안축(安軸)·김광철(金光轍) 등과 함께 판사(判事)가 되어 책임을 맡았으며, 그 밑에 속관(屬官) 33명을 두고 제도(諸道)에 파견하여 양전(量田)하게 했는데, 정치관들에게 안렴사(安廉使)와 존무사(存撫使) 등을 겸임하게 하여 적극적인 정치사업(整治事業)을 추진하게 했다.

그러나 그해 3월 기황후(奇皇后)의 일족인 기삼만(奇三萬)이 불법적으로 토지를 탈점한 일을 징벌하여 가두었다가 옥사(獄死)하는 사건이 일어나 정치관들이 국문을 받은 이후 정치도감의 기능은 사실상 중지되었으며 개혁은 좌절되고 말았다. 그해 11월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司事)가 되고 1348년 다시 정승이 되었다.

그해 충목왕이 갑자기 죽자 덕녕공주(德寧公主)의 명으로 기철(奇轍)과 함께 섭행정동성사(攝行征東省事)로 임명되어 정치를 맡아보면서, 이제현을 원나라에 보내어 새 국왕을 간택해줄 것을 요청하는 표문(表文)을 올렸다. 당시 왕위를 계승할 후보자로서 충혜왕의 동모제(同母弟)인 왕기(王祺 : 뒤의 恭愍王)와 충혜왕의 서자(庶子)인 왕저(王이미지 : 뒤의 忠定王)가 있었는데, 왕기를 지지하는 여론이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노책(盧頙)·최유(崔濡) 등의 영향으로 왕저가 추대되자 1349년(충정왕 1) 성절사로서 원나라로 가서 왕기의 추대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실패하고 귀국 도중에 병으로 죽었다.

공민왕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정헌(正獻)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왕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