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완주군은 오랫동안 전주부에 속해 있었던 관계로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의 타 시·군 지역에 비해 크고 작은 유물·유적이 많다. 국가지정문화재(보물 8, 사적 1),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9, 기념물 5, 민속자료 1), 문화재자료 3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는 구이면 덕천리의 지석묘군과 이서면 상림리의 유병동검(有柄銅劍), 소양면 대흥리의 마제석검, 봉동읍 제내리의 무등리입석(舞登里立石 : 전북특별자치도 민속자료 제3호) 등이 있다.
산성은 1675년(숙종 1)에 축조된 소양면 대흥리의 위봉산성(威鳳山成 :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17호)과 대치산성(大峙山城)·고중리산성·고성산성(古成山城)·산성동산성·산북리산성·길마재산성·구억리산성·만수산성(萬壽山城)·신덕리산성(新德里山城)·백현산성(柏峴山城)·이전리산성(泥田里山城) 등이 있다. 봉수대로는 탄치봉수대(炭峙烽燧臺)가 있는데, 동쪽으로는 고중리산성, 남쪽으로는 대불리봉수대, 서쪽으로 용계산성과 연결되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화암사·송광사·위봉사·대원사·단암사(丹巖寺) 등의 유명한 사찰이 있다. 구이면 원기리의 대원사용각부도(大院寺龍刻浮屠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71호), 소양면 대흥리의 위봉사보광명전(威鳳寺普光明殿 : 보물 제608호)·송광사십자각(松廣寺十字閣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3호)·송광사일주문(松廣寺一柱門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4호), 동상면 수만리의 수만리마애석불(水滿里磨崖石佛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84호), 경천면 가천리의 화암사극락전(花巖寺極樂殿 : 보물 제663호)·화암사우화루(花巖寺雨花樓 : 보물 제662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고산면 읍내리에 고산향교대성전(高山鄕校大成殿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16호)이 있고, 서원으로는 1730년(영조 6)에 세워진 구호서원(龜湖書院)을 비롯해 호산서원(湖山書院)·용강서원(龍岡書院) 등이 있다. 그밖에 임진왜란 당시 호남 곡창지대의 중심성인 전주성을 사수하기 위해 권율 장군이 왜적과 맞서 싸운 운주면 산북리의 이치전적지(梨峙戰蹟地 :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6호)와 소양면 신촌리의 웅치전적지(熊峙戰蹟地 :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5호)가 있다.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대둔산·모악산 등의 명산이 둘러싸고 있어 연중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다. 특히 대둔산은 화강암으로 된 기암괴석과 울창한 숲이 어우러져 호남의 '금강'이라 불리며, 가을의 경관이 뛰어나다. 길이 50m의 금강구름다리와 삼선계단식 구름다리, 약수정 등이 있다. 그밖에 송광사와 구이저수지·경천저수지·대아저수지·위봉폭포·봉동낚시터·봉동마그네천·마천대 등이 있으며, 지리적으로 전주시와 인접해 있어 위락시설이 비교적 많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라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완주군의 유물·유적·관광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