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옥좌

다른 표기 언어 throne , 玉座

요약 신분이나 지위를 나타내는 의자.
보좌라고도 함.

단(壇) 위에 설치되며 대개 닫집이 달려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의자는 착석자의 신분과 상징적으로 동일시되었다.

옥좌와 신분이 동일시되는 현상은 여러 군주국에서 그 지배자들의 직위가 옥좌로 표현되고, 교황선출회의에서 선출이 결정되면 새로 교황으로 뽑힌 추기경의 닫집을 제외한 다른 추기경의 닫집을 내려놓는 관례에서 잘 볼 수 있다.

고대 그리스의 초기 역사를 살펴보면 옥좌는 신들의 자리로 생각되었다. 서부 아프리카의 베닌 왕국으로부터 남아메리카의 각 제국에 이르기까지 사실상 거의 모든 나라에서 이 말은 세속적인 권력이나 종교상의 권위를 지닌 인물들의 자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고대 동방의 옥좌에는 한결같이 화려한 상징물이 달려 있다.

예를 들어 성서의 〈역대기 하〉 9장에서는 솔로몬 왕의 옥좌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왕은 또 상아로 대형 옥좌를 만들어 순금을 입혔다. 그 옥좌에는 여섯 계단이 있고, 양편에는 팔걸이가 있는데 그 팔걸이 옆에 2마리의 사자가 서 있다. 여섯 계단 양쪽에도 사자가 6마리씩 모두 12마리가 서 있다. 이와 같은 옥좌는 일찍이 어느 나라에서도 만들지 못한 것이었다."

비잔틴 황제들도 솔로몬의 옥좌를 본떠 자신의 것을 만들었으며 거기에 정교한 사자상도 덧붙였다. 영국박물관에는 아시리아 왕 사라곤 2세(BC 705 죽음)의 옥좌에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조각이 소장되어 있는데 이것은 순금·상아·유리·홍옥수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옥좌는 크노소스 궁전의 벽면에 설치된 것(BC 1800경)이며, 가장 호화로운 옥좌로는 인도 델리의 지배자들의 것으로 보석으로 치장하여 은계단의 단에 세워놓은 공작옥좌(Peacock throne)를 들 수 있다.

유럽에서의 옥좌 생산은 그리스도교의 출현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신비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옥좌는 대관식 행사에 사용되면서 왕권을 부여하는 의전행사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여졌다. 또한 추기경·주교·대수도원장 등의 고위성직자들도 권위의 상징으로 옥좌를 사용했다. 초기에 만들어진 옥좌들 중에는 베네치아 교회의 토르첼로에서처럼 교회 석조물의 일부분으로 만들어진 것도 있다. 교황권의 상징으로 4세기에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성 베드로의 옥좌는 참나무와 상아로 제작되었으며, 쇠로 된 운반 손잡이가 달려 있다. 이탈리아 라벤나에 있는 막시미아누스 대주교(546~556)의 화려한 상아옥좌는 정교한 평부조가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로마 후기 가구양식으로 되어 있다.

파리 새드니의 귀중품 보관소에 들어 있는 다고베르트 왕의 옥좌는 청동제 접는 의자로 8세기에 제작된 후 12세기에 성직자이자 정치가인 쉬제르가 다시 장식을 덧붙였다. 웨스트민스터 대수도원의 대관식 옥좌는 에드워드 1세 때의 금세공사인 애덤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처음에는 청동으로 만들려 했으나 외형은 설계대로 두고 재질만 참나무로 바꾸었다. 17세기 후반과 18세기에 들어 많은 옥좌가 은으로 만들어졌으나 뒤로 올수록 금박을 입힌 나무로 제작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공예

공예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옥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