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95(고종 32) |
---|---|
사망 | 미상 |
국적 | 한국 |
요약 사회주의운동가.
이르쿠츠크파의 지도자로 1920년대 초반 시베리아에서 가장 정력적으로 무장투쟁을 전개한 조선인이다.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고향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징집되어 이르쿠츠크에서 군사학 과정을 수료하고 소위보로 유럽 전선에 참전했다. 부상으로 징집이 해제되어 니콜스크로 귀향한 후 크라스노세코프·시베르체프·쿠벨만 등 연해주의 볼셰비키 지도자들과 교류했고, 특히 한인 최초의 볼셰비키였던 알렉산드라 페트로브나 김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1918년 1월 22일 김철훈(金哲勳)·조훈(趙勳)·남만춘(南滿春) 등과 함께 이르쿠츠크 공산당 한인지부를 결성했다. 1919년 9월 5일에는 김철훈·이재복(李載馥)·최고려(崔高麗) 등과 함께 전로한인공산당(全露韓人共産黨)을 조직하고 군정부장이 되었다. 1920년 4월 극동공화국 인민혁명군 제2군단 제6연대장 겸 블라고베시첸스크 지방 수비대장으로 러시아 공산당에 입당했다. 그해 9월에는 종래의 한인특립대대(韓人特立大隊)를 개편하여 한인보병자유대대를 결성한 후 대대장이 되었다.
1921년 3월 갈난다라시윌린과 파르티잔 부대를 통합하여 임시고려혁명군정의회를 결성하고 부사령관에 취임했다. 그해 5월 4일에는 전로고려공산당이 주도한 제1차 한인공산주의자대회에 참석했고, 11월 3일 군정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22년 모스크바 고급간부과정에 입학했고, 레닌그라드 국제군사학교 조선과 창설을 주도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사회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