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성당과 시장

다른 표기 언어 The Cathedral & the Bazaar , 聖堂─ 市場

요약 1997년 컴퓨터 프로그래머 에릭 레이먼드는 〈성당과 시장〉이라는 자신의 논문에서 새로운 오픈 소스 이론을 주장했다. 그는 집중화, 비밀 엄수, 느린 발매 속도,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의 수직적인 경영을 하향식 공법의 건축물인 성당에 비유하고 분산화, 투명성, 개방성, 리눅스 공동체의 동등한 네트워킹을 공평한 조건에서 교환을 협상하는 시장에 비유했다. 논문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시장처럼 분산된 접근을 함으로써 더 질 높은 소프트웨어의 산출을 기대할 수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사용자들이 편집하는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어가 오픈 소스 프로그래밍 운동을 명백히 모방하여 설립되었으며, 과학의 오픈 출간 운동과 생물 정보학의 오픈 게놈 운동도 같은 개념이다.

1997년에 컴퓨터 프로그래머인 에릭 레이먼드(Eric Raymond)는 그의 논문인 〈성당과 시장 Cathedral & the Bazaar〉에서 새로운 오픈 소스 이론을 주장했다.

레이먼드는 집중화, 비밀 엄수, 느린 발매 속도,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의 수직적인 경영을 하향식 공법의 건축물인 성당에 비유했다. 그리고 분산화, 투명성, 개방성, 리눅스 공동체의 동등한 네트워킹을 공평한 조건에서 교환을 협상하는 시장에 비유했다. 논문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시장처럼 분산된 접근을 함으로써 더 질 높은 소프트웨어의 산출을 기대할 수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스톨먼이 처음으로 ‘정보는 무료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윤리적인 측면에서 그의 주장을 펼쳤다면 레이먼드는 공학, 합리적인 선택, 시장 경제의 의미로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다음과 같은 말로 요약했다. “아주 많은 감시의 눈길들이 충분히 존재한다면 컴퓨터의 모든 오류는 사라진다.” 1998년 초에 레이먼드는 스톨먼이 이전에 무료 소프트웨어라는 말로 활성화시켰던 것과 같은 의미로 오픈 소스를 공동체 실습이라는 용어로 주장했다. 레이먼드의 주장과 무료 라벨의 대체물로 인해 기업들과 통신 수단을 능가하는 새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오픈 소스의 기치 하에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닷컴 열풍(dot-com boom)’이 부는 동안에 이 운동은 큰 발전을 이루어냈다.

그리고 이어진 주식 시장 불황에서도 계속 수익을 올렸다. 2003년까지 오픈 소스가 실행 가능한 사업 모델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이른 의구심이 널리 퍼졌다. 오픈 소프 공동체의 상업적인 파트너들은 공동체의 기초를 가진 레드 햇 소프트웨어(Red Hat Software)사와 같은 중형 업체들과 오픈 소스의 마케팅의 힘과 능률을 잡기 위한 목적을 가진 IBM과 휴렛패커드사와 같은 대형 업체들을 포함했다.

새로운 기류가 형성되면서 미국 정부와 세계는 소유권 코드에 의존하는 것에 의구심을 품기 시작했지만 소유권 코드에 대해서 조사를 할 수도 변경을 할 수도 없었다.

어느 정도 성공한 오픈 소스 지지자들은 소유권이 있는 소프트웨어에 의존하는 것은 정부가 소프트웨어 제공자들이 결정하는 속도가 느릴 수도 있다는 위험한 보안상의 위반을 공개하도록 방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에 반해서 그들은 오픈 소스 프로그램의 독립적인 감시가 가장 효과적이고 적절한 심사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이외에 정부들이 왜 외국 기업에 많은 라이선스비를 지불하고 있는 지에 대해 의구심을 갖기 시작했을 때, 특히 오픈 소스가 언어 공동체들을 위해 소프트웨어를 지역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을 때 그러한 외국 기업들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너무 적은 투자를 해서 더 많은 정치적 압력이 생겨났다.

레이먼드의 견해를 보면 오픈 소스로의 전환은 소프트웨어가 더 복잡해질 때 증가하는 다른 소프트웨어 검사 방법들의 실패로 인해 압력을 받아오고 있다는 것이다.

그 견해는 오픈 소스 공동체 내의 단순한 추측으로부터 통설이 되었다. 그러나 공동체에는 무료 소프트웨어 순수주의자들과 실용주의자들 사이에 어떤 정치적인 긴장감이 존재했다. 실용주의자들은 때때로 오픈 소스 운동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된 정체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 균열은 개략적으로 GPL 쪽과 BSD, MIT와 같은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반대쪽 사이의 분열과 유사하다.

기술적으로 오픈 소스 공동체는 유닉스의 근원과 비슷한 점을 가지고 있다.

가장 크고 가장 중요한 분파로는 리눅스 운영 체제를 둘러싼 개발 네트워크가 남아 있다. 그것은 더 오래된 유닉스 변종을 능가할 만큼 빠른 네트워크이다. 잘 알려지고 중요한 다른 오픈 소스 프로젝트는 아파치 월드 와이드 웹(Apache World Wide Web) 서버, 파이어폭스 웹(Firefox Web) 브라우저, 펄&파이선(Perl and Python) 컴퓨터 언어, 스톨먼의 Emacs 편집기를 포함한다.

스톨먼, 토르발스, 레이먼드는 상대적으로 소프트웨어 외에 오픈 소스 원칙 적용에 대해서 토론하기를 꺼렸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들로부터 영감을 받았다.

사용자들이 편집하는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어가 오픈 소스 프로그래밍 운동을 명백히 모방하여 설립되었으며, 과학(인터넷: 전자 출판 항목을 보시오)의 오픈 출간 운동과 생물 정보학의 오픈 게놈 운동도 같은 개념이다. 오픈 소스 프로그래밍 철학과 그것으로 만들어진 코드의 영향은 평론과 상품 평가가 상업적인 성공과 대중성을 위해 필수 주안점인 이베이(eBay), 아마존(Amazon), 라이브저널(LiveJournal), 마이스페이스(MySpace)와 같은 웹 기반의 사회 통신망 사이트들에 퍼졌다.

아마도 전세계의 미래 경제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공상가들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팀들의 감시 구조를 모방하는 통신망을 가진 조직들을 통해 많은 감시 효과를 이용할 방법들을 찾고 있다는 것일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성당과 시장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