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무상으로 공개된 정보의 자유 접근 및 이용을 옹호하는 컴퓨터 전문가들의 정신.
오픈 소스의 유래는 1960년대 학계에서 이루어진 컴퓨터 과학 실습과 초기 컴퓨터 사용자 그룹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은 자주 그리고 비공식적으로 빠르게 데이터 처리를 되풀이하고 자유롭게 명령을 변경함으로써 공통의 기술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해크(hacked)’라는 코드를 공유했다. 몇몇 다른 공학 문화들은 오늘날처럼 인터넷을 통해 공통적으로 허용되고 빠르게 의사소통이 되는 장치는 없었지만 현대의 오픈 소스 발전과 유사한 연구들을 동시에 그리고 일부 독립적으로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코드를 공유하는 연구는 유닉스(UNIX) 운영 체제 개발자들 사이에서 가장 유효하고 지속적인 방법이었다.
유닉스는 DEC(Digital Equipment Corporation)사의 미니 컴퓨터인 PDP-7에 사용하기 위해 AT&T사의 벨 연구소에서 1970년 즈음에 처음 개발되었다. 유닉스는 다양한 컴퓨터 하드웨어 체제를 받아들이면서 새롭고 다른 형태의 운영 체제를 개발했다. AT&T사와 선마이크로시스템스(Sun Microsystems)사(버클리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개발된 유닉스 변종을 지지한 회사임)가 1987년 마침내 유닉스를 상업화 하기로 결정할 때까지 많은 컴퓨터 제조업체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오픈 체제의 필요성을 느끼고 오픈 소프트웨어 재단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이것이 미니 컴퓨터를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소위 ‘유닉스 전쟁’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비공식적인 코드의 공유에서 명백한 오픈 소스 연구로의 전환은 사실 리처드 스톨먼이 몇 년 더 일찍 시작했다. 메사추세츠 공과 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환경 연구를 했던 권위 있는 프로그래머인 스톨먼은 1980년대 초에 증가하는 소프트웨어의 상업화와 정면충돌했다.
더 많은 회사들이 소스 코드에 접근하는 것을 막게 되자 스톨먼은 코드를 정하고 개선하려고 했던 그의 노력에 대해 좌절감을 느꼈다. 그래서 그는 소유권이 있는 소프트웨어는 공개적으로 대립하겠다고 결심했다. 1984년에 그는 완전히 무료인 유닉스와 비슷한 운영 체제를 개발할 목적으로 GNU 프로젝트를 설립하기 위해서 MIT를 그만두었다. GNU란 ‘GNU’s not UNIX(GNU는 유닉스가 아니다)’의 재귀적 약어이다.) 1985년에 그는 그의 무료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그램의 윤곽을 그린 ‘GNU 선언문’을 발표했으며 무료 소프트웨어 재단(FSF)을 만들고 무료 소프트웨어 운동을 시작했다.
스톨먼은 많은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이 오랫동안 해오고 있었던 일에 대해 라벨을 붙이자고 처음으로 주장했을 것이다.
그러나 무료 소프트웨어라는 용어는 프로그래머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스톨먼이 GNU 선언문을 발표하기 전에는 사회적 운동에 참여하려는 생각을 가진 프로그래머들이 거의 없었다. 그리고 그런 생각이 전개되자 스톨먼의 기획은 많은 프로그래머들에게 너무 많은 관념적인 부담을 주었다.
그의 목적을 위해서 스톨먼은 배포된 작업물(스톨먼이 ‘카피레프트(copyleft)로 지칭하는 소유권)과 그 작업물의 변경된 내용을 이용하기 위해서 코드를 배포하고자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합법적으로 요구할 수 있도록 컴퓨터 코드에 첨부된 증서인 일반 공중 라이선스(GPL)를 썼다.
사실상, 그는 해커 정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노력한 사람이었다. 20세기 말까지 GPL은 모든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대략 반 정도에 해당하는 선택적인 라이선스였다. 다른 반 정도는 카피레프트가 아닌 라이선스들과 MIT 라이선스, 그리고 1970년대 버클리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개발한 BSD에 근거를 둔 다양한 라이선스들로 나뉘었다.
1987년 이후 인텔 사(Intel Corporation)의 32비트 386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유용성은 품질이 좋은 개인용 컴퓨터(PC)가 유닉스 체제를 운용하기 위한 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사실상, SCO 그룹(리눅스 솔루션 개발 업체)은 그 해에 386을 실행하기 위해 유닉스의 첫 번째 버전을 발매했다. 유닉스의 BSD 변종 개발에 중심 역할을 했던 몇몇 프로그래머들은 PC에 그 변종을 적용하기 위해 386BSD라는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무료 소프트웨어 재단의 HURD운영 체제 프로젝트는 또한 386에 근거한 PC에 다시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두 개의 프로젝트는 386BSD의 소송과 HURD의 비현실적인 기획 의도로 인해 아슬아슬하게 뒤쳐지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