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오웨리족

다른 표기 언어 Itsekiri

요약 나이지리아 나이저 강 삼각주의 서쪽 끝 지역에 사는 종족.
Jekri, Ishekiri, Itsekiri라고도 함.

부족민의 상당수가 사펠레·와리·부루투·포르카도스 등 현대적인 도시의 넓은 지역에 걸쳐 거주하고 있다. 요루바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며, 주변 종족과의 다양한 접촉을 통하여 요루바족·에도족·우르호보족·이조족과 공동의 문화적인 요소를 갖게 되었다.

오웨리족은 해안가에 거주하면서 고기잡이를 생업으로 하며 살아가는데 주로 장대나 줄·올가미·울타리·그물 등 원시적인 도구들을 이용해 물고기를 낚는다. 남자들과는 달리 여자들은 대부분 집안에서 갈대와 야자잎을 이용하여 매트와 바구니를 만드는 일을 한다.

한때 융성했던 산업인 은세공은 사라졌고 대장기술도 쇠퇴하고 있다.

오웨리족에게는 이들의 창시자이자 초대 올루(왕)인 기누와가 베냉에서 출생했다는 기원 신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이에 따라 베냉에서 온 오바족의 후손들이 대대로 왕위를 계승했으며, 그 아래로는 추장들을 세워 회의체를 구성하도록 했다. 추장들로 구성된 회의는 종족내의 제반사에 있어서 올루에게 조언을 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현대적인 정부가 출현하면서 추장의 지위가 축소되고 있으며, 추장이 없는 마을들이 늘어가고 있다.

각 마을 내에서 성인 남자들은 자신의 마을을 처음 세운 부계 조상의 가계를 잇는다. 넓은 의미에서 오웨리족은 부계와 모계 친족집단들을 모두 인정한다. 이웃 부족의 여자를 부인으로 삼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 이 경우 자신과 친족관계가 없는 여자를 선택하는 것이 보통이다.

오웨리족은 아프리카의 다른 부족들과는 달리 옷차림이 단정하며, 옷을 잘 차려 입는 부족으로 유명하다. 그들의 길고 풍성한 모양의 고유 복장은 서구에서 수입되는 서양옷과도 잘 어울린다.

오웨리족은 해안에 살았기 때문에 내륙에 사는 다른 부족들보다 먼저 유럽인과 접할 수 있었다. 19세기에 이곳에 와서 이들과 처음으로 접촉한 유럽인은 포르투갈인이었다. 이들은 유럽에서 만들어진 공산품들을 내륙에 공급함으로써 대(大)상인으로서의 명성을 쌓으면서 번영을 누리게 되었다.

그러나 영국 정부가 이를 좌시하지 않고 책략을 써서 오웨리족과, 이웃한 우르호보족 사이의 관계를 악화시키면서 1950년대에는 와리 시 주변에서 분쟁이 일어났고 대상인으로서의 시대도 막을 내리게 되었다.

이들의 전통 종교에서 오릿세는 최고의 신이자 세계를 창조한 창조주이다. 또 우말레 오쿤은 바다의 신이고 오군은 철과 전쟁의 신이다. 이파 신탁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사람이 점을 치며, 오웨리족이 자주 갖는 조상들에 대한 의식도 이들을 통해서 치루어진다.

1980년대 들어 이들이 사는 나이저 강 삼각주는 석유생산지로 주목을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오웨리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