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오버턴

다른 표기 언어 Richard Overton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미상
국적 영국

요약 1631~64년에 활동한 영국 청교도 혁명과 공화정시대의 팜플렛 제작자, 수평파 지도자.

어린시절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서더크에서 직업배우 겸 극작가가 되기 전에 네덜란드에서 살았고, 케임브리지대학교 퀸스 칼리지에서 수학했다. 1640년 정치활동가가 되어서 영국국교회, 독점가, 찰스 1세의 고문으로 알려진 스트래퍼드 백작, 시민법 등을 공격하는 약 50편의 소책자를 집필했다. 1643년에 쓴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의 운명 Man's Mortality〉에서 그는 육체뿐만 아니라 영혼도 죽지만 영혼은 틀림없이 부활한다고 주장했다. 1645~46년에 마틴 마프리스트라는 가명으로 쓴 소논문들에서 그는 장로파와 웨스터민스터 성직자단의 편협성을 혹평했다. 1645~49년에 출간된 40편의 소논문 시리즈와, 1648~49년에 발간된 수평파 기관지 〈마더리트 The Moderate〉에 기고한 20편의 사설에서 오버턴은 국민주권의 중요이론과 자연법하에서의 만민평등, 공화정, 정부와 사회의 기초로서 사회계약설 등이 담긴 급진적인 정치이론을 발표했다. 또한 그는 의무적인 십일조의 폐지와 사유화된 토지의 공동사용에의 복귀, 대학개혁 등을 포함한 주요한 사회적·법적 개혁을 요구했다.

수평파 운동에서 핵심적인 지도자였던 오버턴은 이론가로서 뿐만 아니라 언론가·정치조직가로도 뛰어났다. 그는 특히 수평주의 운동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 내는 데 대중적인 청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했다. 이 같은 활동으로 그는 뉴게이트(1646~47)와 런던탑(1649)에 수감되었고, 정부는 그가 석방되던 1649년 11월 무렵에도 여전히 수평주의 운동을 탄압했다.

그러나 1654년에 그는 수평파와 군 내부의 공화파, 왕당파 사이의 동맹을 이끌어내 올리버 크롬웰 정부를 전복시키려고 시도했다. 전복시도의 실패로 대륙으로 피신해야 했지만 1656년에 귀국하여 다시 비밀계획을 도모했다. 그는 1660년대초까지 공화주의 운동을 계속 지지했던 것으로 여겨지나 그 이후에는 그에 관해 알려진 바가 없다. M. 기멜파브브랙의 〈리처드 오버턴 Richard Overton〉(1980)에 그의 활동이 자세히 씌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오버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