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오방진굿놀이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농악 진법의 하나.

군사훈련의 진법이 농악에 들어와서 하나의 놀이 형태로 귀착된 것이다.

5방은 동·서·남·북과 중앙을 뜻하는 것으로 음양오행사상에서 비롯되었다. 신명나게 고동 모양으로 원을 그리면서 판을 휩쓰는 동작이 특징이다. 평택농악에서는 돌림벅구에서 쇠를 딱 그치고 길군악을 치며 오방진을 짠다.

진을 짠다는 것은 멍석말이를 하는 것으로 사물이 앞서서 시계침 반대방향으로 꺾어돌면서 버꾸가 따르고 무동은 밖에서 시계방향으로 돈다. 먼저 길군악을 치며 동쪽으로 가서 멍석말이를 하고 다시 서에서, 남에서, 북에서 각각 멍석말이를 하고 맨 나중에는 중앙에서 길군악을 치다가 잦은 가락으로 바꾸어서 멍석말이를 한다. 상쇠는 가운데서 돌고 사물은 그 다음을 쌓고 무동은 밖에서 돌며 꽉 조인 다음에 상쇠가 잦은 가락을 마치고 삼채를 치며 시계방향으로 돌며 진을 푼다.

호남 우도농악에서는 오채질굿을 치며 시계침 돌아가는 반대 방향으로 상쇠가 선도하여 원무한다. 같은 방향으로 원무하면서 벙어리 삼채를 치고 그것을 된삼채로 몰아간다. 이어서 상쇠가 잽이들을 데리고 오방진 가락을 치며 오방진을 쌓는다. 진을 쳐서 원이 좁혀졌을 때는 이른바 팟싹굿이라 해 이채가락으로 음악을 고조시킨다. 경남농악에서는 먼저 반삼채를 치고 동·서·남·북·중앙으로 고동진을 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한국음악

한국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오방진굿놀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