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예종석

다른 표기 언어 芮宗錫
요약 테이블
출생 1872(고종 9), 경기 연천
사망 미상
국적 일제강점기, 한국

요약 일제강점기의 친일자본가.

어려서 부모를 잃고 서울의 친척집에서 살며 전우학교(電郵學校)를 졸업했다. 이후 전우총국주사(電郵總局主事)·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궁내부전선사감동(宮內府典膳司監董) 등을 지냈으며, 1904년에는 일본군을 따라 러일전쟁에 종군했다.

1907년 유길준·조진태(趙鎭泰)·장헌식(張憲植) 등과 함께 일본 황태자 다이쇼[大正]를 맞기 위한 발기회를 열어 한성부민회(漢城府民會)를 조직하고 영송행사 등을 주관했으며, 한말에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따라 일본을 시찰했다. 1916년 11월 모든 결사가 금지되었던 무단정치기에 일본인 유력자와 조선인 부호의 사교친목단체임을 표방한 대정친목회(大正親睦會)를 조직해 회장·이사 등의 직책을 맡아 일선융화운동(日鮮融和運動)에 앞장섰다.

1924년에는 자치권·참정권 등의 부여를 요구했던 일본인과의 합작단체 갑자구락부(甲子俱樂部)의 상무간사가 되는 한편, 친일단체 연합체인 각파유지연맹의 간부가 되었다. 1934년 일본의 대륙침략을 지원하는 조선대아세아협회 상담역을 맡았고, 1937년에는 일제의 침략전쟁 지지단체인 조선군사후원연맹의 위원이 되었다. 한편 경성융흥(京城隆興) 감사역, 조선지주식회사(朝鮮紙株式會社) 취체역, 경성주식현물취인소시장(京城株式現物取引所市場) 감사역 등을 지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예종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