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주제와 관점 및 극적 표현 양식에서 영웅시에 대응하는 서술체 산문.
영웅 산문은 입으로 말하든 글로 쓰든 낭송을 목적으로 지어진 이야기이고, 따라서 구비전승의 상투적 표현을 많이 채택한다. 이런 산문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은 8~11세기에 채록된 고대 아일랜드의 울레이드(얼스터) 전설로, BC 1세기를 배경으로 영웅 쿠출린과 그의 동료들이 등장하는 이 설화는 그리스도교가 들어오기 이전의 귀족층, 즉 전차를 몰면서 싸우고, 적의 목을 베어 전리품으로 취하고, 드루이드 교도들의 영향을 받는 귀족층의 관습을 보여준다.
12세기에 채록된 아일랜드 설화는 페니언 이야기로, 이 전설은 영웅 핀 매쿰하일(매쿨)과 그의 아들이자 시인인 오이신(오시언), 그리고 전사와 사냥꾼들로 구성된 그의 정예부대 피안나 에이레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설화에는 운문(대개는 연설)이 군데군데 끼어 있어 변화를 주고 있는데, 운문은 산문보다 훨씬 오래 전에 씌어진 경우가 많다. 운문으로 된 부분 때문에, 이 이야기는 지금은 사라진 영웅시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아일랜드 설화 가운데 서사시다운 면모를 갖춘 이야기는 울라이드 전설인 〈쿨리의 가축습격 The Cattle Raid of Cooley〉뿐이지만, 지금 남아 있는 텍스트는 많이 손상되어 있다. 아일랜드 설화의 정형화한 어구와 시적 언어는 그레고리 부인이 개작한 설화집 〈무이르템네의 쿠출린 Cuchulain of Muirthemne〉(1902)·〈신들과 싸우는 인간들 Gods and Fighting Men〉(1904)에 훌륭히 보존되어 있다(→ 구비문학).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수필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