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대게

다른 표기 언어 giant snow crab 동의어 울진게
요약 테이블
분류 절지동물문 > 연갑강 > 십각목 > 긴집게발게과 > 대게속 > 대게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서식지 바다 밑바닥
먹이 오징어, 게, 새우
크기 약 6cm ~ 12cm (수컷은 최대 20cm)
학명 Chionoecetes opilio
식성 육식

요약 긴집게발게과 대게속에 속하는 갑각류. 경북 영덕과 울진에서 많이 잡혀 영덕게, 울진게라고도 한다.

개요

긴집게발게과 대게속에 속하는 갑각류다. 한류성 게류로 한국 동해와 일본, 오호츠크 해, 캄차카, 베링 해, 알래스카, 그린란드 등에 분포한다. 동해에서는 매우 중요한 수산자원으로 상업적 가치가 크다. 경상북도 영덕과 울진에서 많이 잡혀 영덕게, 울진게라고도 한다. 다리가 길고 맛있어 식용으로 인기가 많다. 한국에서 잡히는 같은 대게속으로는 홍게(붉은대게)가 있다. 어획 기간(대게철)은 11월에서 다음 해 5월까지다.

형태

몸체는 동그스름한 삼각형으로 길이가 너비보다 약간 짧다. 갑각의 양 옆가장자리는 입틀까지 연속되며 20개 내외의 작은 가시들이 배열되어 있다. 갑각 등면의 윗구역 뒷부분은 매우 낮으며 각 구역의 표면은 납작한 사마귀 모양의 돌기들로 덮여 있다. 이마는 V자 형태의 두 갈래로 나뉜다. 눈위판이 발달했으며 눈자루는 짧고 두껍다.

집게다리는 삼각기둥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뾰족한 돌기가 있다. 집게다리는 대칭으로 집게의 두 손가락은 손바닥보다 길고, 매우 가늘다. 집게다리보다 길고 편평한 걷는다리가 양쪽으로 4개씩 있다. 마지막에 있는 4걷는다리는 1~3걷는다리보다 상대적으로 짧다. 배 아랫부분이 삼각형 모양이면 수컷, 원형이면 암컷이다. 암수 모두 6cm 이상이면 성체로 판단하며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크기가 훨씬 크다. 큰 개체의 경우 암컷은 10~12cm, 수컷은 18~20cm 정도다.

생태

수심 200~350m 정도의 부드러운 모랫바닥이나 진흙에서 서식한다. 한류성 생물로 3℃ 이하의 차가운 물에 주로 서식한다. 서식 가능한 수온은 0~13℃ 정도다. 잡식성으로 작은 게나 새우 등 갑각류와 소형 어류, 두족류, 갯지렁이 등을 먹는다.

산란기 암컷과 어린 대게를 잡는 것은 불법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해 대게와 붉은대게(홍게)의 암컷은 산란기에 포획과 채취가 금지된다.(「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 제6조) 어획량 감소를 막아 수산자원을 지키기 위해서다. 일반적으로 대게는 6월부터 11월까지, 붉은대게는 7월부터 8월까지가 포획 금지 기간이다. 지역과 수심에 따라 구체적인 기간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수산자원관리법은 체장(몸길이) 9cm 미만의 어린 대게도 연중 포획과 체취를 금지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영덕게|게

게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대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