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작은 원이 구슬처럼 연결된 문양.
원래 진주는 영혼·광명·선(善)을 상징하는 것으로 왕관이나 의복의 장신구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상징적인 성격과 연관되어 진주 형태의 연주무늬가 유행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형태가 단순하며 주로 고대 금속공예품·건축·직물 등에 장식문양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이 문양은 근동지역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특히 사산조 이란에서 크게 유행했으며 이후 7~8세기경에는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일본 등에 전해졌다. 형태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단순한 둥근 원이 하나로 연결되어 일종의 띠를 형성한 것과 원형의 연주무늬 안에 사자·봉황·꽃무늬 등과 같은 동식물 문양이 장식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직물에 많이 나타나며 중앙 아시아와 중국의 석굴벽화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때 크게 유행했으며, 불상의 대좌 및 광배·금속공예·벽화·석조부조 등 불교관계 미술품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도 불교의 성행과 함께 불교공예품을 비롯하여 불상이나 도자기 등에 장식문양으로 많이 나타난다. 특히 통일신라시대의 연유토기와 고려시대의 동종(銅鐘)·금고(金鼓)·사리장엄구 등에는 작은 점과 함께 촘촘하고 정돈된 형태로 표현되었고, 조선시대에는 불교미술품뿐 아니라 일상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