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동일한 작물을 해마다 한 포장 내에서 계속 재배하는 것.
토양 내의 일부 유기물·무기물만을 소비함으로써 토양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작부방법을 말하며, 이어짓기라고도 한다. 연작으로 인한 장해요인으로는 토양 중 양분 및 특수성분의 불균형 또는 결핍, 병충해의 발생, 토양반응의 악화, 독소의 집적 등이 있다. 따라서 연작을 계속하려면 인위적으로 양분을 보급하여 지력의 쇠퇴로 인한 생산량 저하를 방지해야 한다.
작물의 종류에 따라 연작에 따른 생산량 감소가 현저한 것(콩과나 가지과 식물)과 적은 것(벼 등의 화본과 식물)이 있다. 일반적으로 심근성 작물은 천근성 작물보다, 여름 작물은 겨울 작물보다 연작의 해가 크다. 연작의 장해는 윤작 또는 적당한 작물을 잘 조합한 작부양식에 의해 줄일 수 있다. 연작을 하는 경우에도 최근 농업기술의 진보에 따른 양분의 보급이라든가 병충해의 방제법 등에 의해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에 보급된 방법으로는 ① 품종에 의한 방법(예를 들면 병충해에 강한 품종의 개발), ② 시비방법의 개선, ③ 접목에 의한 방법, ④ 약제에 의한 병충해 방제, ⑤ 심경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