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조류, 연안류, 부서지는 파도의 영향을 받는 해양 생태 부분.
풍파의 세기에 따라 간조선 아래 5~10m의 깊이까지 이른다. 연안대는 용존 산소량과 일광 및 영양소가 풍부하고, 파력 에너지와 물의 이동성이 높으며, 간조선과 만조선 사이에서 바닥의 침수와 노출이 교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안선과 근해 바닥의 지질학적 성질은 극도로 다양하다. 그결과 개체 동물의 수도 국지적으로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전체로서의 조간대 동물상은 엄청나게 많은 종(種)과 주요 문(門)을 포함한다.
산호초, 암석해안, 사빈, 보호된 만입부에 각각 독특하고 미묘하게 얽힌 연안대 식물군과 동물군이 있다. 연안대에 사는 생물의 종류는 바닥의 형태와 그 구역이 받는 파도작용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노출된 모래해안에는 일반적으로 동식물의 분포가 드문데 특히 조수가 교차하는 지역은 더욱 심하다. 파도가 부딪히는 암석해안에 사는 몇 안 되는 생물들은 일반적으로 하층에 단단히 붙어 있거나 고정되어 있다. 만과 해협에는 거친 파도작용이 없어 많은 생물이 산다.
보호받는 암석해안은 대개 해초·홍합·따개비 등으로 덮여 있고, 여러 종류의 게·벌레 등이 기어다닌다. 보호되는 모래·진흙 바닥에는 굴을 파고 사는 연체동물·벌레·극피동물 등이 많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생태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