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연수

다른 표기 언어 medulla oblongata , 延髓

요약 연수는 능뇌의 뒷부분에 발달한다. 제4뇌실을 둘러싸고 있으며 대부분의 뇌신경과 관련된 핵을 포함하고, 주요 섬유로, 척수와 신경중추를 연결하는 교차, 호흡과 같은 불수의적 기능을 조정하는 다양한 중추를 포함하고 있다.
연수에는 자율신경활동을 관장하는 몇몇 기능적 중추가 있어서 호흡·심박동·소화과정을 조절하며, 소뇌와 함께 운동을 조절하고 내부기관으로부터의 체감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시상과 함께 각성과 수면을 조절하는 것도 연수의 활동이다. 연수의 중간 부위에 손상이나 질병이 생기면 몸의 반대편에 마비가 일어나고 촉각·위치감각을 상실하며 혀에 부분적인 마비가 생긴다. 연수의 외측부에 손상이나 질병이 있으면 통각·온도감각이 상실되고, 현기증·구토가 일어난다.

연수(medulla oblongata)

ⓒ OpenStax/위키피디아 | CC BY 4.0

능뇌(rhombencephalon)의 뒷부분에 발달한다. 뇌교를 통해 중뇌와 연결되어 있고, 뒤쪽으로는 척수(脊髓)로 이어져 있는데, 두개골의 기부에 있는 구멍인 큰후두구멍(foramen magnum)으로 나온다. 연수는 제4뇌실을 둘러싸고 있으며 대부분의 뇌신경과 관련된 핵을 포함하고, 주요 섬유로(fibre tracts), 척수와 신경중추를 연결하는 교차(신경섬유의 교차), 호흡과 같은 불수의적 기능을 조정하는 다양한 중추를 포함하고 있다.

대뇌나 소뇌와 같이 연수도 백질(미엘린 수초로 둘러싸인 유수섬유)과 회백질(세포체)로 이루어져 있지만, 연수에서는 회백질이 뇌로 연결되는 척수중심관이 확대되어 생긴 액체로 채워진 강(腔)인 제4뇌실을 둘러싸고 안쪽에 위치해 회백질과 백질의 해부상 관계와 반대이다. 연수의 신경세포와 모든 중추신경계에서 모이는 돌기가 연수에서 복잡한 연결망을 이루어, 연수는 복잡한 통합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연수에는 자율신경활동을 관장하는 몇몇 기능적 중추가 있어서 호흡·심박동·소화과정을 조절하며, 소뇌와 함께 운동을 조절하고 내부기관으로부터의 체감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시상과 함께 각성과 수면을 조절하는 것도 연수의 활동이다. 마지막 7개의 뇌신경이 연수에서 나오는데, 연수는 그들의 기능적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연수의 중간 부위에 손상이나 질병이 생기면 몸의 반대편에 마비가 일어나고 촉각·위치감각을 상실하며 혀에 부분적인 마비가 생긴다. 연수의 외측부에 손상이나 질병이 있으면 통각·온도감각의 상실, 최토반사(催吐反射 gag reflex)의 상실이 일어나고, 음식을 삼키기 어려우며 현기증·구토가 일어나고 협조(coordination)가 상실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신경계

신경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연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