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연변조선족자치주

다른 표기 언어 延邊朝鮮族自治州
요약 테이블
위치 중국 지린 성(吉林省) 동부
인구 227만 6,178명 (2013)
면적 43,507km²

요약 중국 동북부 지역 지린성의 자치주. 조선 후기부터 조선족이 이주하여 개척한 곳으로 일제시대에는 독립운동의 근거지이기도 했다. 1945년 8월 20일 소련군과 동북항일연군은 간도 임시정부를 수립했으나, 그해 11월 중국공산당은 간도 임시정부를 해산시키고 '연변행정독찰 전원공사'를 설치했다. 그 후 연변조선족자치구가 설립되었으며, 1955년 12월 연변조선족자치주로 격하되었다.

연변조선족자치주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 지역 지린성(吉林省)의 자치주. 중국 내 조선족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다. 자치주 전체 인구의 38%를 조선족이 차지하고 있다. 연변지역은 조선시대 후기부터 조선족이 이주하여 개척한 곳으로 일제시대에는 독립운동의 근거지이기도 했다.

1945년 8월 20일 소련군과 동북항일연군은 간도 임시정부를 수립했으나, 그해 11월 중국공산당은 간도 임시정부를 해산시키고 '연변행정독찰 전원공사'를 설치했고, 1948년 3월 연변전구를 창립했다. 그후 1952년 9월 3일 연변전구가 철폐되고 '연변조선족자치구'가 설립되었으며, 1955년 12월 연변조선족자치구를 '연변조선족자치주'로 격하되었다. 당시 자치주는 1개시와 5개현을 관할했다.

1958년 10월 지린 시(吉林市)에서 관할했던 둔화 현(敦化縣)을 연변에 귀속시켰다. 1965년 5월 옌지 현 투먼 진(圖門鎭)과 왕칭 현(汪淸縣), 스셴 진(石峴鎭)을 합하여 투먼(圖門市)를 설립했다. 1985년 5월 둔화 현을 둔화시로 고쳤고, 1988년 7월 훈춘(琿春)·룽징(龍井) 2개현이 시로 승격되었다. 1992년 8월 한중 국교수립 이후 한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져 결혼이나 이민 등을 통해 한국으로 귀화하는 조선족 인구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옌지(延吉, 연길)·투먼(图门, 도문)·둔화(敦化, 돈화)·룽징(龙井, 용정)·훈춘(珲春, 훈춘)·허룽(和龙, 화룡) 등의 6개시와 안투(安图, 안도)·왕칭(汪清, 왕청) 2개현을 관할하고 있다. 자치주의 소재지는 옌지이다.

경제

연변조선족자치주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러시아·한반도가 인접해 있어 대외무역에 유리한 경제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치주에는 29가지 공업 분야의 각종 업종에 1,390여 개소의 공업 기업소가 있으며 풍부한 삼림·광물·수력 자원을 이용한 임산·야금·제지·석탄 공업이 주로 발전했으나, 1987년 이후부터는 연변전자공업공사가 설립되는 등 기계·전자 분야의 발전이 두드러지고 있다.

농업분야에서는 수확고가 평균 60만~70만t에 달하며 주요농작물로는 잎담배의 연간 생산량이 2만 5,000t, 원삼(元蔘)은 1,000여t, 과일은 15만t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이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과수원을 보유하고 있는 연변의 특색 가운데 하나이다. 상업은 국영상업(8개 업종에 342개의 독립 채산단위 및 538개의 영업소가 있음)과, 농산품의 유통을 담당하는 합작 상업조직으로 '공급판매합작사'가 있으며, 생산물의 유통은 최근 확대되고 있는 도시와 농촌의 시장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연변은 변경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색으로 인하여 대외무역이 비교적 활발하다. 무역교역국은 1991년 현재 20여 개국에 달하고 연간 외화수입은 1,500만 달러 정도이다. 해산물·쌀·목재·고무·강재·화학·공업 원료 등을 포함해서 140여 가지 정도를 수입하고, 수출품목은 기름과 식료품이 31.6%, 축산물과 지방 특산물이 15.8%, 경공업과 방직업이 35.1%, 화학공업·기계전기제품 17% 등이다.

문화

연변 조선족자치주의 문화적 특징은 중국의 소수 민족으로서 조선족의 문화적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의식주 생활과 관혼상제의 의식에서 고유한 조선족의 문화적 풍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

자치주는 1991년 현재 문화(예술)관 9개소, 문화분관 8개소, 문화소 115개소 등의 대중문화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1956년 이후 자치주 내의 각 시·현에는 전문 문공단이 설립되었고, 1991년 현재 13개의 전문 예술공연단체가 있다. 이들의 공연활동은 각종 경연대회를 열기도 하지만 예술 공연, 미술·사진 전람회도 개최하고 있다.

문화단체는 1953년 7월 결성된 연변 문화예술계연합회(연변 문련)를 비롯하여 연변작가협회·연변음악가협회·연변희극가협회·연변미술가협회 등이 있고, 문화유산을 보호·관리 및 발굴하는 업무를 관장하는 문화유물관리위원회가 있다. 이밖에 연변박물관, 연변조선족민속박물관, 룽징 시 민속박물관, 그리고 둔화·훈춘·허룽·룽징 등의 시와 현 문화유물관리소가 있다.

연변박물관은 고대 역사유물 5,400여 점, 민속문물 2,000여 점, 혁명유물 3,000여 점 등이 있다. 특히 1973년 허룽 현 팔가자북대(八家子北大)의 발해 옛 무덤군에서 발굴된 구리거울, 유약이 칠해진 손잡이 달린 단지, 금으로 도금된 물고기 모양의 장식품, 도기와 벼루 등은 국가의 1급품에 속한다. 또한 연변박물관에서 자체로 발굴한 발해국 정혜공주 묘에 있는 발해 벽화는 귀중한 유물로 평가받고 있다.

언론과 출판

1991년 현재 연변에서 발행되는 신문의 총수는 35종이며, 매기당 총발행부수는 36만여 부이다. 이들 중 〈연변일보〉는 자치주에서 가장 먼저 창간되었다. 자치주 내의 출판사는 4개사, 잡지사는 7개사, 인쇄공장은 모두 120개사로 이 가운데 연변 신화인쇄공장은 1984년 제판과 인쇄 및 제본에 자동화를 실현했다.

1988년 1년간 자치주 내에서 발행된 도서의 양은 1,394만 권이다.

연변의 라디오 방송은 '연길신화방송국'으로 출발했다. 1948년 '연변인민방송국'으로 개칭되었고, 1956년부터 중국어 지방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조선말 방송과 동일한 주파수로 나누어 방송했다. 이외에 1991년 현재 자치주에는 4개의 무선방송국과 8개의 무선중계방송소가 있다. 텔레비전 방송은 1973년부터 시작되었고, 텔레비전 수상기 보급 수량은 1991년 현재 약 30만 대에 이르고, 연변 텔레비전 방송국에서는 매일 3시간 30분씩 방송하고 있다.

교육

초기의 교육상황은 주로 전통적인 서당교육을 통하여 초등수준의 교육을 실시했으나, 점차 근대적인 성격의 학교가 설립되었다. 1905년 을사조약으로 조선이 사실상 일본의 통치권에 들어가자, 1906년 이상설이 룽징에 서전서숙을 세웠으며, 이후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반일 민족교육기관이 계속 설립되었다. 또한 1932년에는 항일유격정부인 노동민주정부가 '소학교의무교육법'을 발표하여, 일제의 황국신민화정책에 저항하기도 했다.

1952년 9월 3일 연변조선족자치주가 공식적으로 인정되면서, 1950년대에는 초·중등교육의 확대보급, 단일민족학교 설립, 교원양성과 교과서편찬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정책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1965년 소학교는 1,274개교, 중학교 278개교, 중등전문학교 5개교, 대학 3개교로 확대되었다.

1966년 이후 10년에 걸친 문화혁명은 연변지역의 교육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쳐 각종의 민족학교들이 해산되어 조선인의 취학률이 80%에서 30%로 감소했으며 조선어교육을 폐지하고, 연변 지역에 제공되던 교육재정보조가 취소되는 등 교육여건이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문화혁명이 끝난 후 1982년 9월 자치주 교육국에서 '연변교육 30년'을 발표하여 민족 교육을 재건하려는 방침을 제시했다. 초등교육 부문에서는 조선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단일민족학교 운영을 재개하면서, 조선어교육을 강화했고, 초등교육확대정책이 실시되었다. 중등교육 부문에서는 사범교육이 확대되었고, 위생학교·경찰학교·예술학교 등 다양한 중등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

고등교육 부문에서는 학교 규모의 확대와 전공학과를 증설하는 조치가 취해졌고, 본과생 중심의 교육에서 연구생·본과생·전과생의 3단계 교육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성인고등교육기관·과학연구기관 등의 부속기관이 설치되었고, 1989년에는 연변만이 아니라 중국 최초의 사립대학인 연변과학기술대학의 건설공사가 착공되어 진행중이다. 이 대학은 한국 민간단체의 지원을 받은 학교로 1993년 9월에 개교할 예정이다.

1991년 현재 소학교는 1,302개교(학생 27만 580명, 교원 1만 3,300명), 중학교는 241개교(학생 19만 1,330명, 교원 1만 3,980명), 중등전문학교 9개교(학생 3,998명, 교원 776명), 대학 5개교(학생 5,959명, 교원 2,316명)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연변조선족자치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