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연동운동

다른 표기 언어 peristalsis , 動運動 동의어 꿈틀운동

요약 종주근과 환상근의 불수의운동(不髓意運動).

연동운동(peristalsis)

ⓒ joshya/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주로 소화관에서 볼 수 있으며 그밖의 관 모양의 장기에서도 가끔 볼 수 있는데 이 운동으로 파도와 같은 진행성의 수축운동이 일어난다. 연동운동은 식도·위·장 등에서 일어난다. 이 운동은 나타나는 위치와 시작되는 곳에 따라 국부적으로 짧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수축이 길고 연속적이어서 장기의 끝까지 전달되는 경우도 있다.

식도에서는 관의 윗부분에서 연동파가 시작되어 마지막 부분까지 이어지면서 식도에 있는 음식물을 위로 밀어보낸다.

남아 있는 음식물은 제2연동파를 일으켜 내려보낸다. 한번 생긴 수축파가 관 끝까지 가는 데는 약 9초가 걸린다. 사람의 식도에서 일어나는 연동수축파는 대부분 다른 포유동물의 것에 비해 약하다. 소와 같은 반추동물에서는 역연동운동도 일어나기 때문에 음식을 위에서 입으로 다시 내보내 새김질을 할 수 있다. 위가 차 있으면 연동파는 감소된다. 섭취한 음식에 지방성분이 많이 들어 있으면 이것이 위액과 섞여 묽어지거나 위에서 없어질 때까지 이러한 운동을 멈출 수 있다. 연동파는 위가 시작하는 부위에서 약한 수축운동의 형태로 시작하며, 위의 후반으로 갈수록 수축강도는 점차 강해진다. 이 연동파의 작용으로 위에 있는 내용물이 섞이며, 음식이 소장으로 밀려간다. 대체로 2~3개의 파장이 한꺼번에 위의 각기 다른 부위에서 일어나며 매분 약 3개의 파장이 발생한다.

소장에서 음식물 입자가 장의 평활근을 국부적으로 자극하면 그 지점에서 양쪽으로 수축파가 생긴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입 쪽으로 진행하는 수축파는 급속히 억제되고,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수축파는 지속된다. 니코틴이나 코카인과 같은 약물이 장벽에 퍼져 장이 마비되면 국소 자극 때문에 생기는 수축파가 양쪽 방향으로 똑같이 진행된다.

보통 소장의 연동파는 불규칙한 간격을 갖고 발생하며 진행거리도 5~8㎝인 것에서 60~90㎝인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수축파는 음식물이 장벽에 접촉하여 흡수되고 다시 앞으로 밀려가게 해준다.

대장이나 결장에서는 연동운동이 계속적이고 점진적으로 일어나는데, 연동파는 소화관의 끝인 항문 쪽으로 갈수록 점차 증폭되어 연동파의 앞쪽에서 음식 찌꺼기를 밀어낸다. 이러한 운동이 배설물(대변)을 직장으로 보낼 만큼 커지면 배설하려는 욕구가 생긴다. 배설물이 직장까지 갔는데도 몸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면 저장될 수 있도록 역연동파에 의해 결장의 마지막 마디로 돌아온다.

연동파는 특히 대장에서 가스를 없애는 것을 돕고, 세균의 콜로니를 제거하는 세척제와 같이 기계적으로 작용하여 세균의 성장을 조절하는 데 특히 중요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연동운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