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과거의 특정 시점 또는 한 시기 동안의 어떤 장소 및 지역의 특성을 지리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
특정한 시기에 걸쳐 한 장소 또는 지역에서 일어난 지리적 특성의 변화를 연구하기도 한다. BC 5세기경의 헤로도토스의 글, 특히 나일 강 삼각주의 형성을 설명하는 그의 글은 오늘날 역사지리학이라고 불리게 된 학문분야에 속하는 최초의 예로 간주되고 있다.
역사지리학은 과거의 지리적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비교적 낙후된 연구 분야였는데, 역사지리학의 창시자로 알려진 17세기의 필리프 클뤼버가 지표에 관한 지식과 고전의 지식을 연결하여 독일의 역사지리학을 출판했다. 19세기 대학에서는 지리학이 역사를 인식함에 있어 기본이 된다고 교육했으며, 이러한 경향은 영국에서 특히 강했다.
역사를 인식하는 근간으로서의 지리학은 20세기 초반 역사적 사건에 미치는 지리적인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변화되었다. 엘렌 처칠 셈플의 연구는 역사의 해석에 있어 이러한 환경결정론적인 사고를 적용한 것이다. 역사지리학은 1930년대부터 시계열적(時系列的)인 공간점유 연구를 통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시계열적인 공간점유는 더웬트 S. 휘틀시와 카를 O.자우어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역사적인 시간대에 특정 지역에서 나타나는 사람들의 공간점유현상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1975년에 〈역사지리학 신문 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의 창간을 비롯해 1973년 영국지리학자협회 설립과 1979년 미국지리학자협회가 기구 내에 역사지리연구분과를 설립한 것 등은 지리학에서의 역사지리학적인 접근법의 유용성을 인정한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