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여드름

다른 표기 언어 acne

요약 약 50가지 유형의 여드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여드름이라는 용어는 만성피부질환 중에서 가장 흔한 심상성좌창을 가리킨다. 심상성좌창은 유전적인 요소, 호르몬, 세균의 상호작용 등에 의해 생긴다. 심상성좌창의 1차적인 병변은 구진으로서 피지의 마개, 세포 파편, 모낭 속에 든 미생물로 이루어져 있다. 구진은 열려 있기도 하며 윗부분 또는 겉으로 보이는 부분은 산화되어 검은색을 띠기도 한다. 피부표면까지 밀려나오지 않게 닫혀 있을 경우, 농포나 심한 염증성 병변이 일어나기도 한다. 여드름의 진행과정은 다양하며, 지속기간은 병변의 증세에 따라 다르지만 기후나 감정적인 긴장상태의 변화도 여드름을 없어지게 하거나 악화시킨다. 치료방법은 국소적 약물투여에서부터 일광욕·자외선·항생제·호르몬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여드름(acne)



ⓒ RomarioIen/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약 50가지 유형의 여드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쓰는 여드름이라는 용어는 만성피부질환 중에서 가장 흔한 심상성좌창(尋常性痤瘡)을 가리킨다. 심상성좌창은 유전적인 요소, 호르몬, 세균의 상호작용 등에 의해 생긴다. 민감한 사람들은 10대에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순환하는 남성호르몬의 수준이 급증하여 피지선의 활동이 지나치게 활발해지기 때문에 나타난다.

심상성좌창의 1차적인 병변은 구진 또는 여드름으로서 피지(피지선에서 분비되는 지방성 물질)의 마개, 세포 파편, 모낭 속에 든 미생물 특히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로 이루어져 있다. 구진은 열려 있기도 하며 윗부분 또는 겉으로 보이는 부분은 산화되어 검은색을 띠기도 한다. 피부표면까지 밀려나오지 않게 닫혀 있을 경우, 농포(膿泡)나 심한 염증성 병변이 일어나기도 한다.

여드름은 증상에 따라 4등급으로 나뉜다. 1등급에서는 여드름이 드물 수도 있고, 많을 수도 있으나 염증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2등급에서는 여드름이 표면의 농포나 구진(작고 고체성이며 일반적으로 원추형의 융기)과 섞여 있다. 이러한 병변은 보통 얼굴에 한정되고, 계속 긁거나 짜지 않으면 흉터가 크게 남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는 부분적으로 바르는 약물이 상당히 효과적이다. 보통 1~2년 내에 저절로 없어진다. 3~4등급에서는 농포와 여드름, 염증이 뿌리가 깊은 소결절을 이루는 것이 특징으로 피지관이 파열되어 피지와 세균산물이 피부조직으로 유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 증상은 얼굴에서부터 목과 몸통의 윗부분까지 나타나기 쉬우며, 피부에 영구적인 흉터를 남긴다. 여드름의 진행과정은 다양하며, 지속기간은 병변의 증세에 따라 다르지만 기후나 감정적인 긴장상태의 변화도 여드름을 없어지게 하거나 악화시킨다. 치료방법은 국소적 약물투여에서부터 일광욕·자외선·항생제·호르몬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몇 개월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치료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여드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