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여과섭식

다른 표기 언어 filter feeding , 濾過攝食

요약 물에서 먹이 입자들이나 작은 생물체들을 무작위로 걸러내는 먹이 획득의 한 형태.

여과섭식(filter feeding)

ⓒ Uwe kils/wikipedia | CC BY-SA 3.0

주로 작은 크기부터 중간 크기의 무척추동물에서 발견되지만 소수의 대형 척추동물(예를 들어 홍학·수염고래)에서도 나타난다. 백합(白蛤)과 같은 이매패류의 아가미는 호흡에 필요한 부분 이외에 여분의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물속에 떠 있는 물질들을 걸러내는 역할도 한다.

섬모라고 불리는 털과 같은 필라멘트들이 아가미 위에 물의 흐름을 일으키며 또다른 섬모들은 사로잡힌 먹이 입자들을 아가미 표면을 따라 식구(食溝) 속으로 이동시킨다. 꽃갯지렁이의 한 종류인 사벨라속 TYPE="ITALIC">Sabella)의 종(種)들처럼 강모를 가진 갯지렁이류는 입 주위에 섬모가 있는 촉수를 가지고 있어서 지나가는 먹이 입자들을 포획한다.

아르테미아새우(Artemia)를 포함한 일부 갑각류의 다리에는 강모들이 나 있어서 동물이 헤엄을 칠 때 미소한 생물체들을 걸러낼 수 있다. 흰긴수염고래는 이빨 대신에 고래수염판을 가지고 있다(→ 고래수염판). 수직으로 된 좁은 판들이 구강 안쪽에 달려 있고 이 판들의 안쪽 가장자리가 술 모양을 이루고 있어 고래가 한입 가득 물을 삼킬 때 크릴새우 등이 포획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동물

동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여과섭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