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엘라트

다른 표기 언어 Elat
요약 테이블
위치 이스라엘 최남단, 홍해 아카바 만 안쪽 해안
인구 49,734명 (2016 추계)
면적 84.8㎢
대륙 중동
국가 이스라엘

요약 이스라엘에 있는 항구도시.
Elath, Eilat, Eloth라고도 씀.

엘라트(Elat)

ⓒ Tango7000/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1949년의 정전협정에 따라 확정된 이스라엘 영토의 남쪽 끝에 해당하며, 네게브 사막 남쪽 끝, 홍해 위쪽 오른편의 아카바 만(히브리어로 미프라츠엘라트) 꼭대기에 자리잡고 있다.

엘라트는 성서에 여러 차례 언급되어 있는 도시로서 〈열왕기 상〉 9장에 따르면 솔로몬 왕의 배들이 '엘로트 부근'의 에지온게베르에서 오피르 땅까지 갔다가 금을 싣고 돌아왔다고 한다. 1940년 이후 고대 에지온게베르 지역을 탐사해온 고고학자 넬슨 글루에크는 에지온게베르가 엘라트와 완전히 일치한다고 결론지었다.

이 고대도시 유적은 지금의 엘라트 시 동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요르단 지역에 속한다. 엘라트는 로마 제국과 나바테아 왕국(고대 아라비아의 셈족이 세운 나라)의 국경 요새들이 늘어선 리메스팔레스타인의 남쪽 전방초소가 있었던 곳으로, 7세기에 이슬람 제국이 아라비아 반도를 정복하자 유대인들이 이들을 피해 이주해간 곳이기도 하다.

아일라로 불렸던 이 도시는 1116년 십자군에게 점령되었다. 남쪽으로 14㎞ 떨어진 곳에는 작은 산호섬인 하알무김 제1섬이 있다. 그라예 섬으로 불리기도 하는 이 섬에는 십자군 지배지역의 남쪽 끝을 이루는 요새가 유적으로 남아 있다. 1167년 살라딘에게 정복된 뒤 쇠락했다.

1948년 5월 15일 영국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가 끝나면서 엘라트는 움라슈라시라고 불렸던 버려진 국경초소 외에는 아무 것도 남겨진 것이 없는 상태가 되었다. 1949년초 후방지역인 베에르셰바 기지에 있던 이스라엘 군대가 당시에 길도 나 있지 않던 네게브 사막을 가로질러 225㎞를 전진하여, 같은 해 3월 10일 엘라트에 도착함으로써 이스라엘령 홍해안을 점령했다. 이것이 1948~49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마지막 작전이었다.

현대의 엘라트는 1949년에 건설되었으며, 1959년 시가 되었다. 이스라엘에서 홍해와 인도양, 그리고 극동지방으로 나갈 수 있는 유일한 출구이다. 1951년 4월 조그만 항구가 개설되었고, 1956년 시나이 전쟁 이후 이집트가 아카바 만 입구의 티란 해협에 대한 통제권을 잃어버리면서 더욱 확장되었다. 1967년 5월 이집트가 이 해협을 봉쇄하여 항구로서의 기능을 잃었고, 이 사건이 발단이 되어 1967년 6월 6일 전쟁이 일어났다.

수에즈 운하가 폐쇄된 1967~75년 티란 해협은 모든 나라에 개방되어 교역이 이루어졌으며, 엘라트도 다시 확장되었다. 송유관이 설치된 새로운 유조선 선착장이 건설되어, 당시 하이파 북쪽에 있던 지중해 연안의 아슈켈론까지 연결되었다.

기후가 매우 덥고 건조하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거주민들에게 여러 가지 특혜가 제공되었는데, 이러한 정책적인 배려로 건설 이후 20년 동안 인구가 25배로 늘었다. 간선도로 및 정기항공 편으로 이스라엘의 많은 거주지들과 연결된다.

물이 맑은 홍해의 해변은 그림 같은 산호초와 바다생물들이 있어 관광지로 발전했으며, 스쿠버다이빙도 즐길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주민들 상당수가 가까이에 있는 팀나의 구리 광산에서 일한다.

지도
엘라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중동

중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주요도시

추천항목


[Daum백과] 엘라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