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에지워스

다른 표기 언어 Maria Edgeworth
요약 테이블
출생 1767. 1. 1, 잉글랜드 옥스퍼드셔 블랙버턴
사망 1849. 5. 22, 아일랜드 에지워스타운
국적 아일랜드

요약 영국계 아일랜드의 작가.

아동소설과 아일랜드 생활을 그린 장편소설로 유명하다. 특히 아일랜드 생활을 그린 소설들은 영국 소설에 민족주의를 등장시킨 자극제가 되었다.

1782년까지 잉글랜드에 살다가 가족과 함께 더블린 북서쪽에 있는 에지워스타운으로 이주했다. 당시 15세였던 에지워스는 큰딸이었던 까닭에 아버지를 도와 대농장을 관리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농촌경제와 아일랜드 농민들의 생활을 자세히 알게 되었는데, 이는 훗날 그녀의 소설을 이루는 뼈대가 되었다. 에지워스타운에서의 생활은 바쁘면서도 행복했다.

아버지의 격려 속에서 그녀는 가족이 북적대는 거실에서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21명이나 되는 아이들은 소설의 소재인 동시에 청중이었다. 에지워스는 이렇게 쓴 소설들을 1796년 〈부모의 조수 The Parent's Assistant〉라는 책으로 출판했다. 아버지가 편집한 탓에 설교조이기는 하나, 그러한 결함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들은 생동감이 넘친다. 소설 속에 나오는 아이들, 특히 성미가 급한 로저먼드는 셰익스피어 이래 영문학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어린이다운 어린이다.

아버지의 간섭 없이 쓴 첫 장편소설 〈래크렌트 성 Castle Rackrent〉(1800)은 지리한 훈계가 없고, 사회에 대한 관찰과 인물묘사 및 사실적인 대화에서 천부적인 재능을 드러낸 작품이다. 월터 스콧 경은 〈웨이벌리 Waverley〉를 쓸 때 에지워스의 작품이 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뒤이어 발표한 사회소설 〈벨린다 Belinda〉(1801)는 특히 제인 오스틴에게 극찬을 받은 작품인데, 애석하게도 아버지의 고집 때문에 행복한 결말로 끝난 것이 흠이었다.

에지워스는 평생 독신으로 살면서 문학·과학 분야의 사람들과 폭넓게 사귀었다. 1809~12년에 6권으로 된 〈상류생활 이야기 Tales of Fashionable Life〉를 출판했는데, 이 가운데는 그녀의 가장 유명한 소설 〈부재지주 The Absentee〉가 들어 있다. 〈부재지주〉는 당시의 가장 큰 악습, 즉 아일랜드 내의 영국인 부재지주 문제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다. 1817년 아버지가 죽기 전 3편의 소설을 더 출간했는데, 그중에서도 〈후원 Patronage〉(1814)·〈오먼드 Ormond〉(1817)는 매우 감동적인 소설이다. 1817년 이후로는 작품활동이 뜸해, 아버지에 관한 〈회고록 Memoirs〉(1820)만 완성해놓고 농장일에 전념했다.

에지워스는 유럽에서 명성을 얻었고, 스콧과 서로 우정을 나누었다. 말년에는 1846년의 아일랜드 대기근으로 우울하게 보내며, 피해 입은 농부들의 구제를 위해 일했다. 1960년대에 여성해방운동이 일어나자 에지워스의 〈젊은이를 위한 도덕이야기 Moral Tales for Young People〉(5권, 1801)·〈문학여성들에게 보내는 편지 Letters for Literary Ladies〉(1795)가 1970년대에 재출판되었다. 장편소설도 20세기에 꾸준히 재출판되었다. 1979년 크리스티나 콜빈이 편집한 서간문 선집 〈프랑스와 스위스에서의 마리아 에지워스 Maria Edgeworth in France and Switzerland〉가 출간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에지워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