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어용화사

다른 표기 언어 御容畵師

요약 왕의 초상화인 어용 또는 어진을 그리는 화가.

어용을 제작하기 위해 설치된 임시관청인 어용모사도감에서 선발했다. 도감 대신들이 당대에 초상화로 이름난 화가들 중에서 추천하거나 때로는 추천받은 화가들의 실력을 가늠하기 위해 시험을 치른 다음 결정했다. 대체로 도화서 화원 중 초상화에 뛰어난 사람에게 맡겼으나 때에 따라서는 궁중 밖의 외방화사들 가운데 추천을 받아 실력을 겨룬 다음 뽑았다.

어용의 제작에는 6~13명에 이르는 여러 명의 화가들이 동원되었는데, 어용화사는 실력과 맡은 업무에 따라 3가지 부류로 나뉘었다. 첫째, 주관화사로서 임금의 얼굴을 그리는 집필화사였고, 둘째, 동참화원으로 임금의 몸체 중 중요하지 않은 부위를 그렸으며, 셋째, 수종화원이라 하여 채색을 담당했다.

어용화사는 일관이 택한 길일길시에 초본을 제출하며 대신들이 미흡한 부분을 지적하고 왕도 의견을 말하여 차츰 수정했다. 어진도사 때에는 정확한 모습을 그릴 수 있도록 왕이 친림하여 화원에게 왕의 모습을 바라볼 영광스런 기회를 주었다. 초본이 끝난 뒤에 채색을 했고, 설채가 되면 다시 심의하여 보완하는 등 신중한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다. 어진제작이 끝난 뒤 어용화사들은 맡은 직분의 비중에 따라 직위가 승진되거나 상을 받았는데, 일단 어용화사로 선발되었다는 자체가 대단한 명예로 여겨졌고 화가의 명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들 어용화사의 그림 실력은 매우 뛰어나 조선 후기 어진제작에 참여했던 진재해·변상벽·김두량(金斗樑)·김홍도(金弘道)·이명기(李命基) 등과 같은 어용화사들은 인물뿐만 아니라 산수·화조·영모 등 여러 분야에서 당대 회화를 대표하는 명장들이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미술

미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어용화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