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어리여치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절지동물 > 곤충강 > 메뚜기목 > 어리여치과
원산지 아시아
서식지 나무
먹이 진딧물
크기 약 3cm ~ 3.5cm
학명 Prosopogryllacris japonica
식성 육식
분포지역 한국, 일본 등

요약 메뚜기목 어리여치과에 속하는 곤충.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한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나무에 서식하고, 식성은 육식으로 진딧물을 잡아먹는다. 크기는 3~3.5cm 정도이다. ‘어리여치’라는 이름은 여치와 비슷한 곤충이라고 하여 붙은 것이다.

어리여치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정의

곤충강 메뚜기목 어리여치과에 속하는 절지동물. 학명은 ‘Prosopogryllacris japonica’이다. 원산지는 아시아로, 분포지역은 한국, 일본 등이다. 서식지는 나무이다. 식성은 육식이고, 주로 진딧물을 잡아먹는다. 크기는 약 3~3.5cm이다.

형태

길이는 30~35mm(날개 끝까지)이다. 황록색 머리는 짧고 굵으며, 머리 꼭대기의 돌기는 너비가 넓고 말단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앞가슴은 너비가 넓고 방형에 가까우며 위는 둥글다. 앞가두리는 직선에 가까운데 등쪽으로 구부러졌고 뒷가두리는 직선인데 등쪽으로 다소 구부러졌다.

옆 조각은 상당히 낮고 앞뒤의 양 모(角)는 둥글다. 수컷의 버금생식판(亞生殖板)은 짧고 작으며, 뒷가두리는 절단되었고 항상판은 크다. 말단은 특히 둥글고 그 중앙 위 끝에 한 개의 작은 돌기가 있으며 아랫면은 깊은 세로 홈(縱溝)으로 인해 좌우가 굵어졌다. 미모는 가늘고 길며 말단은 뾰족하다.

산란관은 대단히 가늘고 길며 등 위로 다소 구부러졌고 말단 등면은 비스듬하게 절단되었다. 앞날개 등쪽의 황갈색 부분은 너비가 넓으나 앞가두리 쪽은 색이 엷고 가늘다. 뒷날개는 꼬리 모양으로 다소 연장되었으며, 다리는 굵고 뒷허벅마디는 짧으며 특별히 좁은 부분(狹細部)이 없다.

생태

한국·일본에 분포하며, 남부 지방에서 발견할 수 있다. 주로 나무에 서식한다. 식성은 육식으로, 진딧물을 잡아먹는다. 집을 지어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입에서 실을 뽑아 내어 잎을 엮어서 은신처를 만든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어리여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