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양평군의 유물·유적·관광

다른 표기 언어

군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보물 2, 천연기념물 1), 지방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8, 기념물 7, 민속문화재 2, 무형문화재 1), 문화재자료 7점과 등록문화재 1점이 있다(2013).

선사시대의 유물과 유적으로는 양평읍 양근리, 양서면 대심리·양수리, 서종면 문호리, 용문면 조현리, 개군면 앙덕리·상자포리 등지에서 고인돌무리와 함께 민무늬토기, 뗀석기, 간석기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양근리와 앙덕리 유적에서는 구석기시대부터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에 걸치는 각종 유물이 출토되었다.

불교문화재로는 강상면 신화리에서 발견되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양평금동불입상(楊平金銅佛立像, 국보 제186호)과 용문면 신점리 용문사, 옥천면 용천리 사나사(舍那寺) 등이 있다. 특히 양평금동불입상은 삼국시대 말기의 대표적인 금동불입상이다. 용문사에는 용문사정지국사부도 및 비(龍門寺正智國師浮屠碑, 보물 제531호)가 있고, 사나사에는 사나사원증국사석종(舍那寺圓證國師石鍾) 등 여러 유물이 전한다.

용문사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

ⓒ Templestaykorea/wikipedia | CC BY-SA 4.0

유교문화재로는 용문면 덕촌리의 운계서원(雲溪書院), 지제면 수곡리의 수곡서원(水谷書院), 옥천면 옥천리의 양근향교(楊根鄕校), 지제면 지평리의 지평향교(砥平鄕校), 서종면 노문리의 노산사지(蘆山祠址) 등이 있다. 그밖에 용문면 화전리에 있는 숙안공주묘(淑安公主墓, 조선 효종의 3녀), 양서면 목왕리에 있는 한음이덕형선생묘 및 신도비(漢陰李德馨先生墓神道碑) 등 많은 분묘 유적도 남아 있다. 동양 최대라고 하는 용문사의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30호)가 있으며, 용문산지구전적비, 지제면 지평리지구전적비 등 6·25전쟁 관련 각종 기념물들이 있다.

관광지로는 팔당호반과 이어지는 남한강변이 드라이브 코스로 잘 알려져 있다.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용문산지역은 서울을 포함한 인근 도시민들의 1일 관광·위락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밖에 양수리유원지, 삼성유원지, 백운계곡, 중원계곡, 중원산의 도일봉 등이 있다. 2006년 현재 연간 관광객수는 약 58만 명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기도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양평군의 유물·유적·관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