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488(성종 19) |
---|---|
사망 | 1545(인종 1) |
국적 | 조선, 한국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 자는 대춘, 호는 학포. 아버지는 이하이다. 1510년(중종 5)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생원시에 합격했으며, 1516년 식년문과에 급제해 정언·수찬·교리 등을 지냈다. 1519년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조광조·김정(金淨) 등을 위해 항소하다 삭직되어 고향인 전라도 능성현 쌍봉리에 학포당을 짓고 독서로 소일했다.
1544년 김안로(金安老)가 사사된 후 용담현령으로 잠시 나아갔지만 곧 사임했다. 한편 그는 사대부이면서도 그림에 일가견을 보여, 안견(安堅)의 산수화풍을 계승한 〈산수도〉(국립중앙박물관)가 전한다.
이 작품은 16세기 전반 편파구도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주며, 은둔의 심회를 읊은 제시가 적혀 있어 1521~45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저서로 〈학포유집〉이 전한다. 1630년(인조 8) 능주 죽수서원에 배향되었으며, 1818년(순조 18) 순천 용강서원에 추향되었다. 시호는 혜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