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한 용마루 아래에 앞뒤로 방을 배치한 집.
양통집은 낭림산맥, 북대봉산 동쪽, 함경남북도 지방을 중심으로 한국의 동북부 일부 지방과 남해안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양통집은 정주간, 봉당·대청이 있는 것 등의 3가지 형태로 나뉜다. 이것들은 서로 분포지를 달리하므로 흔히 북부형·중부형·남부형이라고도 한다.
정주간이 있는 양통집은 주로 함경남북도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통집은 북부형이라 부른다. 북부형에는 큰 정주간과 부엌이 있고 좌우에 여러 개의 방들이 전(田)자형과 일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봉당이 있는 양통집의 대표적인 형태는 부엌에 정주가 있는데, 규모는 한 사람이 누울 수 있는 정도이다. 이 정주는 함경도지방 양통집의 정주와 같이 완전한 방을 이룬 것이 아니라, 부뚜막을 넓게 만들고 아랫방의 벽 사이에 약간의 공간을 낸 것에 불과하다. 강원도지방에서는 이 정주를 가리켜 가마목이라고 한다.
대청이 있는 양통집은 남해안 일대에 있는 집들로, 남부형이라 한다. 이는 북부형이나 중부형과 달리 대청이 있고 그 좌우에 살림방과 부엌, 경리시설이 갈라져서 배치되어 있다. 양통집도 사람들의 생활 형편에 따라서 그 규모와 방 배치가 일정하지 않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건축양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