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양심은 대개 문화나 교육에 의해 주입되며, 일반적으로 어떤 행동의 도덕적 특성에 관해 직관적으로 권위 있는 판단을 내리는 것으로 이해된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양심의 명령을 어기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는데, 왜냐하면 사람은 '양심의 인도에서 벗어나면 반드시 두려움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몇몇 신앙에서 양심은 신의 목소리이기 때문에 전적으로 신뢰할 만한 행동지침으로 여겨진다.
철학자·사회과학자·심리학자들은 개인적 측면과 보편적 측면에서 양심을 이해하려 했다. 양심을 옳고 그름에 대한 지각을 결정하는 타고난 직관력이라고 보는 견해를 직관주의라 부른다. 양심을 미래 행위를 유발하는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누적된 주관적 추론이라고 보는 견해는 경험주의이다. 한편 행동주의 학자들은 양심을 특정 사회적 자극에 대한 일련의 학습된 반응으로 본다.
양심은 대개 문화나 교육에 의해 주입되며, 일반적으로 어떤 행동의 도덕적 특성에 관해 직관적으로 권위 있는 판단을 내리는 것으로 이해된다.
역사적으로 볼 때 거의 모든 문화는 양심의 존재를 인정했다. 예를 들어 고대 이집트인들은 양심의 명령을 어기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는데, 왜냐하면 사람은 '양심의 인도에서 벗어나면 반드시 두려움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몇몇 신앙에서 양심은 신의 목소리이기 때문에 전적으로 신뢰할 만한 행동지침으로 여겨진다. 힌두교 신자들은 양심을 '우리 내부에 살고 있는 보이지 않는 신'으로 생각한다. 서구 종교집단 중에서 프렌드회(퀘이커교도)는 양심이 신의 '내적인 빛'을 이해하고 행동을 통해 그에 반응하는 데 있어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다.
종교적 맥락 이외에도 철학자·사회과학자·심리학자들은 개인적 측면과 보편적 측면에서 양심을 이해하려 했다. 양심을 옳고 그름에 대한 지각을 결정하는 타고난 직관력이라고 보는 견해를 직관주의라 부른다. 양심을 미래 행위를 유발하는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누적된 주관적 추론이라고 보는 견해는 경험주의이다. 한편 행동주의 학자들은 양심을 특정 사회적 자극에 대한 일련의 학습된 반응으로 본다.
20세기에 지크문트 프로이트는 초자아를 주장하면서 양심에 관해 설명했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초자아는 성격의 주요요소로서 아동이 부모의 인정과 처벌을 통해 도덕적 가치를 결합시킴에 따라 형성된다. 그결과 내면화된 일련의 금지·비난·억제는 양심으로 알려진 초자아의 일부분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