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1011(현종 2) |
국적 | 고려, 한국 |
요약 고려 전기의 무신.
목종 때부터 벼슬길에 올라 여러 관직을 거쳐 형부낭중(刑部郞中)이 되었다. 1010년 거란의 성종(聖宗)이 강조를 토벌한다는 구실로 고려에 침입하여 흥화진(興化鎭)을 포위했을 때 도순검사(都巡檢使)로 있었는데, 진사호부낭중(鎭使戶部郞中) 정성(鄭成), 부사 이수화(李守和), 판관(判官) 장호(張顥) 등과 함께 방비를 갖추고 저항했다.
거란에게 여러 번 항복을 권유받았으나 응하지 않았다. 이에 거란은 20만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통주(通州)로 출동하여 강조가 이끄는 고려군을 격파하고, 항복을 권유하는 서신을 강조가 쓴 것처럼 꾸며 흥화진에 보냈다. 그러나 양규는 왕의 명령만 받을 뿐 강조의 지시는 받을 수 없다고 버텼다. 거란이 포로로 잡은 판관 노전(盧戩)과 합문사(閤門使) 마수(馬壽)를 보내 다시 항복을 권해오자, 도리어 그들을 잡아놓고 항복하지 않았다. 그러자 거란군은 곽주로 가서 성을 함락시켰는데, 이때 양규는 700여 명의 군대를 이끌고 통주로 갔다. 거기서 강조의 부하였던 군사 1,000여 명을 모아 곽주로 가 거란군 6,000여 명을 죽이고 성 안의 백성 7,000여 명을 통주로 옮기게 했다. 이듬해 1월 거란군이 개경까지 진격한 뒤 고려측의 정전 제의를 받아들이고 군사를 되돌리자, 무로대(無老代)에서 돌아가는 거란군을 불의에 습격하여 2,000여 명을 죽이고 포로로 끌려가던 남녀 3,000여 명을 구했다. 다시 이수(梨樹)에서 접전을 벌이고 석령(石嶺)까지 추격하여 적병 2,500명을 죽이고 포로 1,000여 명을 탈환했다. 3일 후에는 여리참(余里站)에서 1,000여 명을 죽이고 포로 1,000여 명을 탈환했다. 그뒤 다시 애전(艾田)에서 거란군의 선봉을 요격하여 1,000여 명을 죽였다. 그러나 얼마 후에 거란 성종의 대부대가 들어와 형세가 일변됨에 따라, 구주 별장 김숙흥(金叔興)과 함께 항전하다가 전사했다. 공부상서로 추증되었다. 1019년 공신녹권(功臣錄券)이 내려졌고, 1024년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에 봉해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