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애장왕

다른 표기 언어 哀莊王
요약 테이블
출생 788(원성왕 4)
사망 809(애장왕 10)
국적 신라, 한국
종교 불교
재위 800년~809년

요약 신라 제40대 왕이자 소성왕의 아들로 이름은 청명, 개명 후 중희. 13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숙부 병부령 김언승이 섭정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귀족들의 권한을 제한하는 개혁을 시행했다. 법규 20조를 새로 발표하고 절과 불교 행사에 자원을 낭비하는 것을 금했으며, 군읍의 경계를 새로 정했다. 재위 10년, 반란을 일으킨 김언승에게 살해당했고 김언승은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개요

신라 제40대 왕(재위 800~809년). 성은 김씨, 이름은 청명(淸明)이며, 뒤에 중희(重熙)라 개명했다. 소성왕(昭聖王)의 아들로, 어머니는 계화부인(桂花夫人) 김씨이다.

800년 왕위에 오를 때 13세였으므로 숙부 병부령(兵部令) 김언승(金彦昇, 뒤의 憲德王)이 섭정했다. 왕권을 강화하고 귀족들의 권한을 제한하는 개혁을 단행했는데, 이것이 권력 장악을 위한 김언승의 의도 때문인지 독자적인 왕권 강화를 꾀한 애장왕의 본심인지는 구분하기 어렵다. 결국 재위 10년 김언승에게 살해당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등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다.

초기 생애

애장왕의 초기 생애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다.

주요 업적

애장왕은 즉위한 해에 태종(太宗)·문무 두 왕의 묘를 세우고 시조대왕(始祖大王, 味鄒尼師今) 및 왕의 고조부 명덕대왕(明德大王), 증조부 원성대왕(元聖大王), 조부 혜충대왕(惠忠大王), 아버지 소성대왕(昭聖大王)을 5묘로 삼았다.

802년에는 해인사(海印寺)를 창건했다. 805년 1월 어머니 김씨를 대왕후(大王后)로, 왕비 박씨를 왕후로 봉했다. 8월에는 공식(公式 : 법규) 20여 조를 발표했으며, 같은 해 위화부(位和府)의 금하신(衿荷臣)을 영으로 고쳐 불렀고, 예작부(例作府)에 성(省) 2명을 두었다. 806년에는 새로 절을 짓는 것을 금하고 수리만 허용했으며 불교행사에 금수(錦繡)의 사용을 금했다. 808년에는 사신을 12도(道)로 보내 모든 군읍(郡邑)의 경계를 새로 정했다.

이러한 조치들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되나 어느 정도 실효를 거두었는지는 의문이다. 당시의 실권은 상대등 김언승에게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809년에 김언승이 동생인 제옹(悌邕)과 함께 반란을 일으켜 군사를 거느리고 대궐로 들어가 왕을 죽였다. 이때 왕의 동생 체명(體明)이 왕을 시위하고 있다가 같이 살해되었다. 그뒤 김언승이 즉위하여 헌덕왕이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애장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