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쌍계사

다른 표기 언어 雙磎寺

요약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의 본사로 43개의 말사를 관장하며 4개의 부속 암자가 있다. 723년(성덕왕 22)에 의상의 제자인 삼법이 당에서 귀국하여 육조혜능의 정상을 모신 뒤 옥천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 840년(문성왕 2) 진감선사가 당에서 차 씨를 가져와 절 주위에 심고 중창하면서 대가람이 되었다.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국보 제47호,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886년(정강왕 1) 쌍계사로 절 이름을 바꾸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2년(인조 10)에 벽암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절은 전형적인 산지가람배치로 남북축선상에 금강문·천왕문·팔영루·대웅전(보물 제500호) 등이 일직선으로 있고, 대웅전의 좌우에 설선당과 요사가 있다. 이밖에 명부전·나한전·팔상전·육조정상탑전·금강문 등이 남아 있다. 주요문화재로는 진감선사대공탑비(국보 제47호)·부도(보물 제380호) 및 여러 점의 탱화가 남아 있다.

쌍계사대웅전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건물. 보물 제500호. 평면구조는 앞면 5칸, 옆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 건물이다. 전체적으로 중앙에 비해 좌우퇴간의 너비가 매우 좁고, 기둥 사이의 넓이에 비해 기둥이 높아 산곡간의 형태를 보여준다. 전면을 모두 개방하여 문짝을 단 특이한 방식으로 되어 있는데, 문짝은 분합문에서 불발기창과 궁판을 중첩시킴으로써 조선 후기에 유행한 형식을 따르고 있다. 공포는 중앙 3칸에는 2조, 좌우퇴간에는 1조씩의 공간포를 배열한 다포계이다. 내외3출목을 사용해 법당 내부를 화려하게 장식했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법당 내부를 금단청으로 장식하여 주목할 만하다.

화개면 쌍계사 대웅전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 대웅전(보물 제500호)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쌍계사부도

쌍계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부도. 보물 제380호. 높이 205cm. 상대·중대·하대로 이루어진 기단 위에 탑신·옥개석·상륜이 차례로 얹혀 있는 8각원당형의 승탑이다. 8각의 하대석과 상대석의 모서리에는 각각 8엽의 복련과 앙련이 조각되어 있으며, 고식적인 안상이 새겨진 중대석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되어 있다.

쌍계사 부도(쌍계사 승탑)

쌍계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부도. 보물 제380호.

ⓒ wikipedia | Public Domain

탑신 괴임석 역시 8각형이며 그 옆면에 권운무늬[卷雲紋]가 거칠고 성글게 새겨져 있다. 탑신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고, 널찍한 옥개석의 추녀는 직선형이며 윗면에는 8조의 우동선이 뻗어내려오고 그 끝부분에는 큼직한 귀꽃이 달려 있다. 옥개석 위의 상륜부는 옥개석을 축소한 것 같은 보개·간주·보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적으로 각 부분의 비례가 둔중하고 조각수법이 정치하지 못하지만, 이 부도를 진감선사의 것으로 보고 건립연대를 헌강왕대(880~885 재위)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쌍계사아미타극락회상도

쌍계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1781년 작. 삼베 바탕에 채색. 세로 504cm, 가로 320cm. 서방정토의 주불인 아미타불이 무량한 법을 설하고 있는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붉은 법의를 입은 아미타불은 푸른색의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의 자세로 앉아 아미타수인을 취하고 있다. 주불의 주위를 8보살, 10대 제자, 사천왕 등이 에워싼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들 권속은 그 지위나 중요도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그려졌다. 오랜 세월 동안 반복해 그려진 도상이므로 존상들의 묘사가 도식화되어 있고, 채색도 바탕이 보일 정도로 얇게 칠해졌다. 전체적으로 붉은색과 녹색을 기본색으로 한 점은 다른 불화와 같지만 피부를 흰색으로 칠하여 생경한 느낌을 준다.

쌍계사영산회상도

쌍계사의 팔상전에 보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보물 제925호. 1687년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403cm, 가로 275cm. 영산회상도는 석가여래가 〈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을 설법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으로 원래는 〈법화경〉의 서술에 따라 충실히 묘사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후대로 내려오면서 석가후불탱과 유사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 작품도 중앙의 석가여래 좌우에 4보살·6제자·사천왕·청중을 빽빽이 그려 넣어 본래의 설명적인 묘사를 생략하고 있다. 우견편단으로 법의를 입은 본존과 함께 모든 상들은 풍만한 모습에 어울리게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색조를 띠고 있다. 법의의 무늬나 각종 장엄구의 형태가 17세기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쌍계사팔상도

쌍계사의 팔상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1728년 작. 종이 바탕에 채색. 세로 179.5cm, 가로 164cm. 팔상도는 석가여래의 생애 가운데 중요한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불전도의 사상, 즉 출생·성도·전법륜·입열반을 기본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송광사 팔상도처럼 복잡한 구도에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각 장면은 도솔에서 내려오는 모습, 출가하는 모습, 설산에서 수도하는 모습, 보리수 아래에서 마귀에게 항복하는 모습, 녹야원에서 처음으로 설법하는 모습, 사라수 아래에서 열반에 드는 모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한된 화폭에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배려가 곳곳에 엿보이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남도

경상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쌍계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