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블랙 프라이데이

다른 표기 언어 Black Friday
요약 테이블
날짜 11월 넷째주 금요일

요약 미국에서 연중 최대 규모의 세일 행사가 열리는 기간. 매년 11월 넷째주 금요일로 지정하여 진행한다. 이 날은 추수감사절 다음 날로, 추수감사절 이후 물건을 싸게 파는 행사는 1920년대부터 있어 왔으나 현재의 블랙 프라이데이는 2000년대 들어서 자리잡았다. 또 다른 세일이 열리는 날로 '사이버 먼데이'가 있는데, 블랙 프라이데이가 오프라인 매출 중심인 데에 비해 사이버 먼데이는 온라인 매출이 주를 이룬다. 한국에서는 2015년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를 시행한 바 있으며, 2016년에는 '코리아 세일 페스타'로 변경하여 진행했으나 행사를 주도하는 주체가 미국과 달라 할인의 폭이 크지는 않다는 의견이다.

개요

블랙 프라이데이(Black Friday)는 미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세일 기간이다. 정확한 날짜는 매년 11월 넷째주 금요일이다. 이날은 11월 네 번째 목요일인 추수감사절(Thanksgiving Day) 다음날이기도 하다. 미국의 기업들은 블랙 프라이데이를 시작으로 크리스마스와 새해까지 이어지는 ‘홀리데이 시즌(Holiday Season)’에 가장 큰 폭의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유래와 현황

추수감사절 이후 세일 행사는 1920년대부터 있었다. 그러나 현재의 블랙 프라이데이가 자리 잡은 것은 2000년대 들어서다. 블랙 프라이데이의 ‘Black(검다)’라는 표현은 상점들이 장부에 적자(Red ink) 대신 흑자(Black ink)를 기록했던 것에서 유래했다. 1960년대 필라델피아에서 추수감사절 다음날의 극심한 교통체증을 비유했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블랙 프라이데이에는 일 년 중 가장 많은 쇼핑이 일어난다. 업체들은 블랙 프라이데이의 매상을 통해 연말까지의 매출 추이를 예측한다. 이 시기에 이뤄지는 소비는 미국 연간 소비의 약 20%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소매업체의 경우 추수감사절부터 연말까지 이어지는 블랙 프라이데이 기간에 연 매출의 약 70%를 판매하기도 한다.

블랙 프라이데이

ⓒ Arina P Habich/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이버 먼데이

추수감사절 연휴가 지난 첫 번째 월요일을 ‘사이버 먼데이’라 부르기도 한다. 2005년 미국의 온라인 쇼핑몰인 ‘Sho.ong’가 처음 만든 신조어다. 블랙 프라이데이가 오프라인 매출 중심이라면 사이버 먼데이는 이름처럼 온라인 소비 지출이 주를 이룬다. 추수감사절에 휴가를 보내고 돌아온 사람들이 월요일에 온라인 쇼핑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미국의 시장조사기관 콤스코어(comScore)는 2015년 사이버 먼데이에 일어난 온라인 소비 매출 추정액이 약 31억 8천만 달러라고 발표했다. 이는 2014년과 비교하면 21% 증가한 수치다.

블랙 프라이데이의 또 다른 의미

1960년대에는 블랙 프라이데이가 다른 의미로 불렸다. 당시 블랙 프라이데이는 금값이 폭락해 증권시장의 공황이 일어났던 1869년 9월 24일의 금요일을 뜻했다. 이 사태는 금융업자인 제이 굴드와 거물 철도업자인 제임스 피스크가 금값 상승을 노리고 금을 매점한 데서 발생했다. 이 계획이 성공하려면 정부가 보유하고 있던 금의 유출을 막아야 했으므로 그들은 이를 위해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그러나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은 이러한 계획을 알아차리고 400만 달러어치의 정부보유 금을 시장에 팔았다. 결국, 그들의 매점계획은 실패로 돌아갔으나 뒤이어 공황이 일어나면서 금융시장이 붕괴했다. 이 사태로 인해 미국 경제는 타격을 받았으며 그랜트 정부의 위신은 손상됐다.

한국의 블랙 프라이데이

한국에서는 2015년 소비 활성화 대책의 하나로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가 시행된 바 있다.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는 2015년 10월 백화점과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전통시장, 프랜차이즈 업체 등이 참여로 진행되었다. 2016년에는 이름을 '코리아 세일 페스타’로 변경하고 9월 29일부터 10월 31일까지 대규모 할인 행사를 진행했다. 그러나 제조사가 주도해 할인 폭이 큰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와 달리 한국은 유통업계가 주도하는 방식이라 할인 폭에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Black Friday (shopping)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블랙 프라이데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