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한국인의 사망원인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한국인의 사망원인은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 등 역학적 변천에 따라, 점점 서구형으로 변했다. 1960년대에는 폐렴·결핵·위장관염 등 전염성 질환이 주요사인이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암, 뇌졸중 등 순환기계 질환, 만성퇴행성 질환 등이 주요 사망원인을 차지하게 되었다.

한국인의 사망원인도 서구형의 사인 구조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1960년대까지도 폐렴·결핵·위장관염 등 전염성 질환이 주요사인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는 뇌졸중 등 순환기계 질환과 암이 1, 2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 환경위생상태의 개선, 의료의 양적·질적 발전은 개인의 건강상태는 물론 한국 전체 국민의 건강과 질병양상을 변화시켰다. 한국의 경우도 이런 변화에 힘입은 소위 '역학적 변천'이 1970년대 후반까지 이루어져서 질병의 이환수준은 물론 주요 질병의 종류도 변화되었다. 그결과 급성 전염성질환은 감소되어 국민보건상의 상대적 중요성이 낮아지게 된 반면에 암을 포함한 소위 만성퇴행성 질환이 주요보건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질병양상의 변화는 결국 한국인의 주요사인을 변화시키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건강

건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한국인의 사망원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