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알바로 우리베

다른 표기 언어 Alvaro Uribe Velez

요약 콜롬비아의 대통령.

알바로 우리베는 메데인에 있는 안티오키아대학교에서 법학사 학위를 받은 뒤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영관리학을 전공했다.

1970년대 중반에는 안티오키아 주정부에서 일했으며 이후 메데인에서 노동부 사무국장과 국가 차원 민간항공 국장을 지냈다. 1982~84년 메데인 시장을 지냈으며, 이 시기에 소를 키우는 목장주였던 아버지가 게릴라 단체인 콜롬비아 혁명군(Fuerzas Armadas Revolucionarias de Colombia/FARC)에 피랍되어 살해당했다. 우리베는 1986~94년 상원의원을 연속으로 2번 지내고 1995~97년 안티오키아 주지사를 지냈다.

대통령 선거운동에서 우리베는 전통적인 집권당인 자유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콜롬비아 최초로 선거운동본부를 설립하고 선거구호를 '엄격함과 열린 마음'(Firm Hand, Big Heart)으로 채택했다. 그는 이전 정부가 무장 조직 문제에 대한 해결 협상에서 실패하자 반군과 준군사 조직, 마약 조직에 대한 강경 노선을 공약했다. 또한 더 능률적인 정부를 만들고 부정부패를 제거하기 위한 전면적인 정치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선거운동 전략의 성공으로 그는 2002년 5월 6일 실시한 대통령 선거에서 53.1%의 지지율을 획득했다.

우리베가 정식으로 콜롬비아 대통령으로 취임한 2002년 8월 7일 수도 보고타 중심부에서 폭발이 일어났다.

취임식 장소로부터 그리 멀지 않은 곳에서 발생한 폭발로 19명이 생명을 잃고 60여 명이 부상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누가 폭발을 일으켰는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당국은 FARC를 비난했다. 폭발은 무장 조직이 테러 행위를 포기하고 교전을 멈춘다면, 무장 조직과 협상을 하겠다고 우리베가 공표한 직후에 일어났다. 취임식 직후 우리베는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콜롬비아군과 경찰 병력을 확대하도록 선포했다.

우리베는 대통령으로서 관료주의를 견제하고 행정 관청을 엄격하게 운영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내각의 수를 감소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으며, 사실상 2개의 독립체인 법무부와 내무부를 합병하여 1명의 법무내무부 장관을 임명했다. 또한 국가와 지역 차원으로 몇몇 부서를 없앨 것을 제안했다. 대통령 재임 첫날, 그는 하나의 입법의회제도를 비롯하여 투명한 의사결정을 위한 지명투표제도 도입, 대리 입법부 의원 배제, 의회 자산과 재무 관리 개혁, 의원을 면직시킬 수 있는 근거를 담은 목록, 조기 총선거 시행 등의 건의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그러나 2003년 국민투표에서 유권자들은 우리베가 계획했던 긴축조치와 정치개혁 외에는 모두 거부했으며, 우리베 행정부의 몇몇 사람이 사임했다.

또한 FARC 폭동과 불법 우익 무장 조직의 출현으로 인한 교전이 우리베에게 장애물이 되었다. 2003년 12월에 정부와 우익 준군사 조직인 콜롬비아통합자위군(Autodefensas Unidas de Colombia/AUC) 간에 평화협상이 체결되고, 2004년까지 AUC 소속 군인들은 무장을 해제했다. FARC 소속의 몇몇 무장 군인과 또 다른 마르크스주의 무장 조직인 인민해방군(Ejercito de Liberacion Nacional/ELN)도 가벼운 처벌을 대가로 무장을 해제했다.

2006년 우리베는 재선에 성공해 2번째로 4년간의 대통령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계속되는 무장 조직 공격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그는 반테러리즘법을 실행해 경찰이 더 쉽게 용의자를 체포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정부와 협조하기로 동의했던 준군사 조직은 더이상 협조하지 않겠다고 협박했으며, FARC는 인질들을 풀어주기 전에 자신들의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군사자유구역을 요구했다. FARC와 ELN은 함께 수백 명을 인질로 잡고 있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을 풀어주는 대가로 몸값을 요구했다. 우리베는 FARC가 인질들을 풀어줄 것이라고 기대하며 FARC 무장 조직원 몇 명을 감옥에서 풀어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ARC가 인질들을 풀어주지 않자, 그는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에게 콜롬비아 정부와 FARC 지도자들 간에 협상 중재를 요청했다. 그러나 이데올로기적 견해가 다른 우리베와 차베스는 사이가 좋지 않았으며, 결국 차베스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박탈당했다.

우리베에게는 전 상원의원이자 대통령 후보였던 잉그리드 베탄쿠르가 석방되었을 때가 아주 중요한 시기였다.

6년여 동안 억류되었던 베탄쿠르는 FARC가 억류한 인질들 가운데 가장 화제가 되었던 인물로, 2008년 7월에 석방되었다. 또한 FARC에 대항하는 우리베의 철저한 예방 조치는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었고, 콜롬비아에서 발생하는 범죄와 납치, 테러의 횟수가 2000년 이후 상당히 줄어들었다. 콜롬비아와 베네수엘라의 관계는 2008년 말쯤 호전되었으며 몇몇 준군사 조직의 지도자들이 마약 밀매 혐의로 미국으로 후송되었다.

우리베는 2009년 1월 미국 대통령이 수여하는 '자유의 메달'(Presidential Medal of Freedom)을 수상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알바로 우리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