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알렉산다르 1세

다른 표기 언어 Alexandar I
요약 테이블
출생 1888. 12. 16(구력 12. 4), 몬테네그로 체티녜
사망 1934. 10. 9, 마르세유
국적 유고슬라비아

요약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의 왕(1921~29 재위) 및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왕(1929~34 재위).
(영). Alexander Ⅰ.

정치적·인종적으로 분열된 민족들을 규합하여 통일국가를 세우려고 노력했다.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세르비아 왕 1903~18,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 1918~21)와 몬테네그로의 조르카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세르비아에서 추방되어 유년시절을 아버지와 함께 제네바에서 보낸 뒤 1899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가 러시아 황실 유년대에 입대했다(1904). 1909년 형이 왕위계승권을 포기하자 법정 추정 왕위계승권자가 되어 세르비아로 돌아와 가족과 합류했다. 1912~13년 발칸 전쟁에서 탁월한 지휘력을 발휘했고 병든 왕 페타르에 의해 세르비아의 섭정으로 임명되었다(1914. 6. 24).

제1차 세계대전 때는 세르비아군 총사령관을 지냈고, 1918년 10월 31일 베오그라드에 개선했다. 섭정왕자로서 1918년 12월 1일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의 창건을 선언했다. 그러나 알렉산다르가 왕국의 새 헌법 준수를 선서한 바로 그날(1921. 6. 28) 그에 대한 암살 기도가 발생했다는 사실은 새 왕국이 대단히 불안정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렉산다르는 8월 16일 부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1922년 6월 8일에는 루마니아 페르디난드 1세의 딸 마리아와 결혼했다. 그뒤 서로 경쟁하는 소수민족 집단과 정당들을 통합하여 통일국가를 수립하는 데 힘썼다.

1920년대에는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어 정부각료가 수없이 경질되고 마침내 의회(Skupština) 회기중 몬테네그로 의원이 크로아티아 의원 몇 명을 살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1928. 6. 20). 크로아티아 의원들은 의회에서 탈퇴했고 알렉산다르 자신도 의회를 재구성하기 위한 만족할 만한 협상안을 제시한다든가 효율적인 정부를 구성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의회를 해산하고, 1921년의 헌법을 폐지해 결국 독재체재를 수립했다(1929. 1. 6).

알렉산다르는 국민 통합을 위해 계속 노력하면서 국명을 유고슬라비아로 바꾸었다(1929. 10. 3). 인종적·종교적·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는 모든 정당을 불법화했으며, 국가를 행정적으로 재조직하고, 법률제도·교과과정·국경일을 정비했다. 또 농민의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불가리아와의 관계를 개선하고(1933), 체코슬로바키아·루마니아와 소협상(Little Entente)을 맺었으며, 그리스·터키·루마니아와 발칸 협약(Balkan Entente)을 맺었다(1934). 이 과정에서 그는 군사적인 힘을 바탕으로 하는 경찰국가를 만들어냈다.

1931년 9월 3일 공포된 헌법은 사실상 독재정치의 합법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었다. 알렉산다르의 이러한 행동은 처음에는 인정받았지만 세계 공황의 여파로 밀어닥친 경제위기와 정치적 불만이 겹친 1932년부터는 민주주의로 복귀하라는 요구가 강해졌다. 결국 그는 의회제 정부형태로의 복귀를 진지하게 고려했다. 그러나 이 결정을 내리기도 전에 알렉산다르는 프랑스 공식방문중 크로아티아 분리주의자에게 암살당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알렉산다르 1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