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909년 10월 만주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 의사의 정신과 뜻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0년에 준공을 하여 592㎡ 규모의 석조와즙 1동을 건립하였고, 높이 3m의 안중근 의사 동상을 세웠다.
2010년 10월 26일에는 안중근 의사 의거 101주년을 기념하여 옛 안중근의사기념관을 철거하고 3층 규모의 새 기념관을 개관했다. 대지 5,772㎡, 연면적 3,759㎡의 규모의 새 기념관은 안중근 의사의 출생과 성장과정은 물론 단지동맹 등 독립운동 활동, 하얼빈 의거, 옥중투쟁과 재판, 순국, 유언 등 의사의 행적을 보여주는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소장품으로는 ‘하루라도 글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는 뜻의 '일일부독서구중생형극' 등 유묵, <국가안위노심초사> 외 휘호, <안중근 의사 공판기> 등이 있다.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 5가 471번지에 있다.
1909년 10월 만주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 의사의 정신과 뜻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0년에 준공을 하여 592㎡ 규모의 석조와즙 1동을 건립하였고, 높이 3m의 안중근 의사 동상을 세웠다.
2010년 10월 26일에는 안중근 의사 의거 101주년을 기념하여 옛 안중근의사기념관을 철거하고 3층 규모의 새 기념관을 개관했다. 대지 5,772㎡, 연면적 3,759㎡의 규모로, 지하 2층에는 강당이 있으며, 지하 1층에는 제1전시실, 추모실, 기념품 판매점이 있다. 지상 1층에는 제2전시실, 북카페가 있고, 지상 2층에는 제3전시실, 기획전시실, 종합영상실, 수장고가 있다.
새 기념관은 안중근 의사의 출생과 성장과정은 물론 단지동맹 등 독립운동 활동, 하얼빈 의거, 옥중투쟁과 재판, 순국, 유언 등 의사의 행적을 그대로 보여주는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여기에 컴퓨터 터치스크린과 미라클 영상 등 IT 기술을 활용해 현장감을 살린 전시가 특징적이다.
소장품으로는 '일일부독서구중생형극(하루라도 글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 등 유묵, 〈국가안위노심초사〉 외 휘호, 안중근 의사 존영 외 사진, 〈안중근 의사 공판기〉 외 책자 등이 있다. 그 밖에 건국공로 훈장과 서한, 안중근 의사가 운영한 돈의학교 관련 기사, 안중근 의사가 발사한 총탄, 공판 당시 신문 보도 내용, 유명 인사의 휘호 등이 전시되어 있다.
안중근의사기념관을 관리하는 안중근 의사 숭모회에서는 안중근 의사와 관련된 각종 유물과 자료를 발굴 및 수집하고 있으며, 매년 기념식과 학술 심포지엄 등을 개최한다.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5가 47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