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성(姓)의 하나. 문헌에는 120여 개의 본관이 전하나, 계통이 자세히 전하는 것은 순흥·광주·죽산·신죽산·탐진·공산·안산·제천·태원 등 10여 본이다. 광주 안씨의 시조는 고려 태조 때 대장군인 안방걸이고 죽산 안씨의 시조는 각각 안방준과 안원형이다. 순흥 안씨는 고려 신종때의 자미를 시조로 삼고 있으며 탐진 안씨는 원린을, 태원 안씨는 중국 원나라 태원 사람으로 우리나라에 와서 정착한 안만세를 시조로 삼고 있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씨 중에서 인구순위 17위이다.

개요

문헌에는 120여 개의 본관이 전하나, 오늘날 계통이 자세히 전하는 것은 순흥(順興)·광주·죽산(竹山)·신죽산(新竹山)·탐진(耽津)·공산(公山)·안산(安山)·제천(提川)·태원(太原) 등 10여 본이다.

광주 안씨

광주 안씨의 시조(始祖)각주1) 는 고려 태조 때 대장군을 역임하고, 이후 광주군(廣州君)에 봉해진 안방걸(安邦傑)이다. 안방걸은 고려 태조 때 광주 사람들이 성주를 살해하고 모반하자 의병을 일으켜 평정했으며, 이 공적으로 광주군에 봉해진 뒤 후손들이 광주를 본관으로 삼았다고 한다.

죽산 안씨

죽산 안씨는 두 파가 있다. 죽산 안씨의 시조는 당나라 출신으로 806년(신라 애장왕 7) 개성의 송악산 아래에 정착한 이원(李瑗)의 아들 중 장남인 안방준(安邦俊)이다. 864년(경문왕 4) 이원의 아들 지춘(李枝春), 엽춘(李葉春), 화춘(李花春) 3형제가 왜적을 평정한 공으로 안씨를 성으로 하사받은 후 지춘은 방준으로 개명하고 죽산군(竹山君)에 봉해졌다. 그 후 후손들이 죽산을 본관으로 삼았다고 한다.

신죽산 안씨

또 다른 죽산 안씨인 신(新)죽산 안씨의 시조는 고려 충혜왕 때 문과에 급제한 뒤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죽성군(竹城君)에 봉해진 원형(元衡)이다. 그의 선계는 순흥 안씨이며 순흥군(順興君)에 봉해진 안목(安牧)의 둘째 아들이다.

순흥 안씨

순흥 안씨는 고려 신종 때 흥위위(興威衛) 보승별장(保勝別將)을 지냈으며 뒤에 신호위상호군(神虎衛上護軍)에 추봉된 자미(子美)를 시조로 삼고 있으나, 시조의 선계에 대해서는 확인할 만한 문헌이 없다. 자미의 세 아들 영유(永儒)·영린(永麟)·영화(永和)를 파조(派祖)로 한 세 파가 주류를 이룬다

탐진 안씨

탐진 안씨는 순흥군(順興君)에 봉해진 안목(安牧)의 셋째 아들 원린(元璘)을 시조로 삼고 있다. 그의 아들인 우(祐)가 홍건적을 토벌한 공으로 오성군(鰲城君, 오성은 탐진의 옛 이름)에 봉해진 뒤 탐진을 관향(貫鄕)각주2) 으로 삼아 세계(世系)각주3) 를 이어오고 있다.

태원 안씨

태원 안씨는 중국 원(元)나라 태원 사람으로 노국대장공주를 따라 우리나라에 와서 정착한 뒤 고려 공민왕 때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지낸 안만세(安萬世)를 시조로 삼고, 시조의 고향인 태원을 관향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현황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성씨 및 본관 집계결과에 따르면, 인구수 68만 5,639명으로 성씨 중에서 인구순위 17위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성씨

성씨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