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악장가사

다른 표기 언어 樂章歌詞

요약 편찬 연대와 엮은이는 알 수 없으나 일설에는 박준이 엮었다고 한다. 내용은 속악가사 상, 아악가사, 가사 상의 3부로 나뉘었다. 속악가사 상에는 종묘영녕전에 속하는 속악 28곡을 오른편에 한문으로 쓰고 왼편에 한글로 음을 달아놓았다. 그밖에 비궁 속악 11곡, 어제 3곡이 필사되어 있다. 아악가사 부분은 '풍운뇌우'를 비롯한 4가지 의식에 따른 4언8구의 순한문 노래가 있고, 우사전폐 끝에는 <납씨가>·<정동방곡>·<대보단악장>이 있다. 가사 상에는 <여민락>·<감군은>·<사모곡> 등을 비롯한 고려·조선 시대 노래 24편이 실려 있다. 조선시대 노래는 우애·불심·유유자적의 생활 등을 노래한 것보다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나라를 일으킨 것을 송축하는 내용이 많다. 규장각·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 연대와 엮은이를 알 수 없으나 일설에는 박준(朴浚)이 엮었다고 한다. 〈국조사장 國朝詞章〉·〈국조악장〉·〈속악가사 俗樂歌詞〉라고도 한다. 내용은 속악가사 상(上), 아악가사, 가사 상(上)의 3부로 나뉘었다. 속악가사 상에는 종묘영녕전(宗廟永寧殿)에 속하는 속악 28곡을 오른편에 한문으로 쓰고 왼편에 한글로 음을 달아놓았다.

그밖에 비궁(閟宮) 속악 11곡, 어제(御製) 3곡이 필사(筆寫)되어 있는데 후대에 끼워넣은 것으로 보인다. 아악가사 부분은 '풍운뇌우'(風雲雷雨)를 비롯한 4가지 의식에 따른 4언8구의 순한문 노래가 있고, 우사전폐(雩祀奠幣) 끝에는 〈납씨가 納氏歌〉·〈정동방곡 靖東方曲〉·〈대보단악장〉이 있다. 가사 상에는 〈여민락 與民樂〉·〈감군은 感君恩〉·〈사모곡 思母曲〉 등을 비롯한 고려·조선 시대 노래 24편이 실려 있다. 이중에 〈청산별곡 靑山別曲〉·〈영산회상 靈山會相〉·〈쌍화점 雙花店〉·〈가시리〉·〈오륜가 五倫歌〉·〈상대별곡 霜臺別曲〉 등 14편은 다른 가집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정석가 鄭石歌〉·〈서경별곡 西京別曲〉·〈사모곡〉·〈이상곡 履霜曲〉·〈야심사 夜深詞〉·〈만전춘별사 滿殿春別詞〉 등 12편은 고려 때 작품이고 그밖에는 조선시대 작품이다. 내용에 따라 나누어보면 〈서경별곡〉 등 이별가 3편과 〈쌍화점〉 등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2편, 성덕(聖德)을 송축(頌祝)하고 태평을 즐기는 〈풍입송 風入松〉, 송수의 노래, 효·도피·유랑생활의 노래, 무속의 영향을 받은 것 등 다양하다.

이 가사들은 이미 고려시대에 노래로 전해지다가 책으로 정착되면서 약간 수정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시대 노래는 우애·불심(佛心)·유유자적(悠悠自適)의 생활 등을 노래한 것보다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나라를 일으킨 것을 송축하는 내용이 많다. 이중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의 4,125장을 얹어 부른 여민락은 궁중악장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악장가시는 지금 전하는 순수 가집으로 가장 오래된 것이며 고려가요 연구의 필수적인 자료이다. 차례가 속악가사 상 등의 형식으로 전하는 것으로 보아 하(下)도 있을 것으로 추측되나 찾을 수 없다. 규장각·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악장가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