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이란 북서부 |
---|---|
인구 | 3,553,000명 (2023년 추계) |
면적 | 37,411.4㎢ |
언어 | 페르시아어 |
대륙 | 중동 |
국가 | 이란 |
요약
이란 북서부에 있는 주. (영). West Azarbaijan/West Azerbaijan. 동쪽으로 아자르바이잔에샤르키 주와 우르미아 호, 남쪽으로 코르테스탄 주와 접한다. 서북서쪽으로는 이라크 및 터키와, 북쪽으로는 아제르바이잔과 국경을 이룬다.
농업이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데 주요작물로 보리·밀·쌀·감자·사탕무·호두·아몬드·과일·채소 등이 있으며, 양·염소를 비롯한 가축사육이 이루어진다. 공업으로는 제당·냉동저장·식품가공·직조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올이 굵은 카펫과 양탄자 직조, 철물생산도 소규모로 이루어진다. 석탄, 소금, 건축용 석재 등도 생산되고 있다.
동쪽으로 아자르바이잔에샤르키 주와 우르미아 호, 남쪽으로 코르테스탄 주와 접한다. 서북서쪽으로는 이라크 및 터키와, 북쪽으로는 아제르바이잔과 국경을 이룬다. 전설에 의하면 지금의 주도인 오루미예(옛 이름은 레자이예)에서 조로아스터가 태어났다고 한다.
7세기에는 아랍인이, 13세기에는 몽골족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 15~18세기의 200년 이상 오스만 제국과 이란이 이 지역에서 끊임없는 전쟁을 벌인 끝에 투르크인이 침입해 들어왔으며, 이어 러시아인에게로 넘어갔다가 1740년경에 나디르 샤에게 점령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중에는 투르크가,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소련이 다시 이 지역을 차지했다.
1946년 소련에 의해 마하바드에 쿠르드 공화국이 세워졌으나, 1947년 이란군이 이 지역을 점령함으로써 단명으로 끝나고 말았다. 1979~80년 이란 혁명기간중에 마하바드에서 쿠르드족의 시위가 일어났으며, 시아파 이슬람교도와 쿠르드족 사이에 싸움이 벌어졌다.
이 주는 평균고도 1,500~1,800m의 고원지대로, 일련의 불규칙한 탁상지로 되어 있으며, 자그로스 산맥의 일부를 이룬다. 고도는 북쪽과 서쪽이 높고 남쪽과 동쪽으로 가면서 낮아진다. 전체적으로 볼 때 단층애들이 수많은 분지와 후이 일대의 저지를 둘러싸고 있는 계단식의 지형이다.
강우량은 고원 대부분 지역에서 비교적 많은 편이다. 깊은 감입하천들이 협곡과 같은 계곡들을 흐르는데, 비가 오지 않는 여름과 초가을에도 녹은 눈과 용천수로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유수가 끊이지 않는다. 기후는 여름에는 따뜻하고 겨울에는 혹독한 추위를 보이며, 산악지대는 1년 중 7~8개월 동안 눈으로 덮여 있다.
주민은 쿠르드족·아르메니아인과 함께 주로 터키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수민족인 쿠르드족은 북쪽의 아락스 강으로부터 남쪽의 후이 주변에 이르는 지역에, 아르메니아인은 북서쪽의 좁은 지역 안에 거주한다. 주민의 대부분이 시아파 이슬람교도이다.
농업이 경제의 근간을 이루며, 경작지는 주로 비옥한 오루미예 분지에 집중되어 있다. 주요작물로 보리·밀·쌀·감자·사탕무·호두·아몬드·과일·채소 등이 있으며, 양·염소를 비롯한 가축사육이 이루어진다. 공업으로는 제당·냉동저장·식품가공·직조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올이 굵은 카펫과 양탄자 직조, 철물생산도 소규모로 이루어진다. 석탄, 소금, 건축용 석재 등도 생산되고 있다.
철도선이 중심부를 가로질러 뻗어 있고, 도로로 마하바드·후이·마쿠·미안도와브·살마스(옛 이름은 샤푸르)·피란샤르 등지와 주도 오루미예가 연결된다. 아자르바이잔에가르비 주와 아자르바이잔에샤르키 주 사이에 있는 우르미아 호에서는 수상교통이 활발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아자르바이잔에가르비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