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아일랜드 공화국은 의회민주주의 국가이다. 1937년 국민투표로 채택된 헌법에 의하면 대통령은 국가의 수반이며 1등 국민이다. 대통령의 임기는 7년으로 국민이 직접선거로 선출하고 재임이 가능하다.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총리가 이끄는 15명으로 구성된 내각의 조언에 따라 정치활동을 하며 특정한 업무를 행할 때는 자문기구인 국가평의회와 의논하여 정치적 결정을 내린다.
총리의 권고가 있을 때 대통령은 의회를 소집·해산시킬 수 있으며, 의회에서 통과된 법안을 국민투표에 부치도록 제출할 수도 있다. 의회는 하원(Dáil)과 상원(Seanad)으로 양원제로 운영된다. 하원 의원수는 166명이며 최소한 5년마다 치르는 비밀투표에서 유권자가 선출한다. 상원 의원수는 60명이며 그중 11명을 총리가 뽑고 나머지는 직업적·경제적·문화적으로 다양한 유권자들이 선출한다. 하원은 법령의 제안이 가능하나 상원은 단지 그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피어나팔당, 통일 아일랜드당·노동당 등 3개의 주요정당이 있다.
임금연계 사회보험제도는 미망인·고아 연금, 실직·장애 수당, 남편에게 버림받은 여자들을 위한 수당, 노인 연금 등을 뒷받침한다. 공공의료 서비스 비용은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다. 보건 상태는 대체로 양호하여 1인당 의사와 병상수가 많고 영아 사망률은 낮으며 평균수명은 73세로 비교적 높다. 6∼15세의 아동은 무상 의무교육을 받는다.
초등교육은 6년으로 졸업자는 중등학교에 등록하여 15, 16세에 중간 졸업증서(Intermediate Certificate)를, 17, 18세에 학습증서(Learning Certificate)를 받는다. 중등학교는 사립이며 초·중등학교는 거의 전적으로 종교 단체들이 설립한다. 고등교육기관 중 더블린대학교가 특히 유명한데 트리니티 칼리지라고도 한다. 언론의 자유가 헌법에 보장되어 있으나 로마 가톨릭교의 도덕성을 해치는 내용의 출판은 출판검열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유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아일랜드의 정치와 사회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