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국가의 지원을 받아 세워진 아이슬란드의 복음주의 루터 교회.
10세기 후반 그리스도교 선교사들이 아이슬란드에 들어왔으며, 1000년경에 알싱(아이슬란드 국회와 대법원)은 모든 지역 주민이 그리스도교인이 되어야 한다고 결정함으로써 그리스도교인과 이교도 간의 내전을 막았다.
1056년 초대 아이슬란드 감독이 임명되었다. 13세기에 노르웨이는 독립국 아이슬란드에 대한 지배권을 장악했으며, 1380년에는 노르웨이와 덴마크가 통합되었다. 노르웨이와 덴마크의 왕 크리스티안 3세는 아이슬란드에 종교개혁을 끌어들였다(1534~59). 그는 아이슬란드 사람들의 저항을 점차 극복하여 마침내 1550년에 이르러서는 루터교를 국교로 삼았다.
아이슬란드 종교개혁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한 학자는 56년 동안 홀라의 감독으로 있던 귀드브란뒤르 토를라크손이었다. 그는 성서(1584)를 포함한 여러 종교 서적을 아이슬란드어로 저술하거나 출판 준비를 했다. 1918년 아이슬란드는 덴마크의 왕 아래서 독립국이 되었으며, 1944년 아이슬란드 공화국을 세웠다. 다른 종파도 허용했지만, 국가와 복음주의 루터 교회의 역사적 관계는 그후로도 계속 유지되었다.
대부분의 아이슬란드 국민들은 교회에 정식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20세기에 들어와 실제로 교회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다. 국가는 교회에 재정지원을 하지만 상당한 자유를 허용한다. 감독은 목사들과 신학 교수들이 선출한다. 하나의 교구는 여러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 구역들은 다시 소교구들로 나누어져 있다. 선거로 선출된 위원들로 구성된 교회협의회가 교회에 자문 역할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아이슬란드 민족교회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