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이딘 왕조

다른 표기 언어 Aydin dynasty

요약 서부 아나톨리아의 아이딘이즈미르 지역을 지배했던 투르크멘 왕조(1308경~1425).

메메드 베이(1308경~34 재위)가 비르기·아야솔루크(지금의 터키 셀추크)·티레·이즈미르 등을 포함한 에게 해 지역에서 정복한 영토에 이 왕조를 세웠다.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우무르 베이(우무르 1세·1334~48 재위)는 함대를 조직해 에게 해 섬들과 발칸 지역 및 흑해 연안에 원정을 실시했으며, 이웃한 비잔틴 제국의 분쟁에 개입하여 요한 6세 칸타쿠제누스 황제를 지원하기도 했다.

교황 클레멘스 6세는 우무르 베이에 대항할 십자군을 조직했고, 여기에서 베네치아·제노바·키프로스의 왕이 가담했다. 1344년에 우무르 베이는 자신의 함대를 잃고 이즈미르의 요새를 십자군에게 내주었으며, 1348년 십자군과 싸우다 전사했다.

그가 죽자 아이딘 공국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아이딘 공국은 번성한 해안지역에 위치하여 지중해 무역을 활발히 전개했다. 또한 이 공국은 변경국가로서 비잔틴 제국 내의 적대 파벌세력들에게 독점해서 용병을 공급했으며, 가지(ghazis: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전사)들이 비잔틴 영토를 기습할 때 통솔자들을 제공하기도 했다.

우무르 계승자들의 치하에서 1348년 8월 18일 체결된 한 조약에 따라 라틴 십자군 국가들은 아이딘 공국을 능가하는 상업적 이권을 차지했다. 아이딘 공국은 변경국가가 지니는 정치적 중요성을 오스만 제국에게 빼앗기고 말았으며, 1390년 술탄 바예지드 1세에 의해 오스만에 합병되었다. 그러다가 1402년 중앙 아시아의 정복자 티무르(타머레인)에 의해 다시 독립했다.

아이딘의 마지막 군주 주나이드(1405~25 재위)는 오스만 왕조의 투쟁에 계속 간섭하다가 결국 체포되어 술탄 무라드 2세에게 처형당했으며, 무라드 2세는 영구적으로 아이딘 공국을 합병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이딘 왕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