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르헨티나 경제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아르헨티나는 대체로 공업과 농업에 기반을 둔 선진국형 경제구조의 자유시장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주로 밀·옥수수·사탕수수 등의 곡류를 재배한다. 콩·해바라기씨·과일류·채소류 등도 중요한 경제작물이다. 세계 최대의 쇠고기 생산국이며, 유명한 임산물로는 케브라초·타닌이 있다. 어획량은 칠레·페루·브라질보다 훨씬 적다. 지하자원은 풍부하나 대규모 개발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원자력 시설은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우수하고, 제조업은 매우 다양하다.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악성 인플레이션으로 주기적인 어려움을 겪었으며, 1990년대 중반 무렵에야 인플레이션율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수출품은 주로 곡류, 신선한 과일과 채소, 석유 및 석유제품, 사료, 육류 및 가공육, 철과 철강제품, 가죽 및 피혁가공품 등이다.

아르헨티나는 대체로 공업과 농업에 기반을 둔 선진국형 경제구조의 자유시장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정치적 불안정과 심한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1970년대초부터 실질성장률에서 마이너스를 기록하여 현재 비슷한 경제수준의 나라들 가운데 가장 낮은 편이다. GNP의 약 1/5은 제조업이 차지하며, 그밖에 농업·임업·수렵·어업·무역·수송·통신 분야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경작이 가능한 토지는 전국토의 약 13%에 이르며 그 가운데 약 1/3만이 실제 경작되고 있다. 이 경작지의 약 2/3에서 주로 밀·옥수수·사탕수수 등의 곡류를 재배한다. 콩·해바라기씨·과일·아마씨·사탕수수·채소류·멜론 등도 중요한 경제작물이다. 전국토의 반 이상이 목초지이다. 세계 최대의 쇠고기 생산국이며, 양·돼지·말·염소 등도 대규모로 사육한다. 국토의 약 22%는 삼림으로 뒤덮여 있다. 삼림의 3/4이 활엽수이고 나머지는 침엽수이다. 유명한 임산물로는 케브라초·타닌이 있다. 해안선 길이가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긴 편이지만 어획량은 칠레·페루·브라질보다 훨씬 적다.

지하자원은 풍부하나 대규모 개발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철광석·망간·보크사이트·크롬·석탄 등이 국내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수입된다. 가장 중요한 지하자원은 원유, 천연 가스, 철광석 등이며, 납·아연·금·은·우라늄도 소량 생산된다. 모래·석회석·화강암·석회화 같은 비금속 광물도 있다. 전기는 화력 50%, 수력 36%, 원자력 14%의 비중으로 생산된다. 원자력 시설은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우수하다. 제조업은 매우 다양화되어 있다. 인조 시멘트 및 목재 펄프와 정유제품·철광석·신철·해면철·강관·포도주·맥주·담배·정제설탕·피혁제품·종이·파티클보드·오븐·자동차·오토바이·재봉틀·냉장고·세탁기·철도화물차량·선박 등이 주요생산품목이다. 건축업은 수력 및 원자 에너지 관련시설과 산업설비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경제는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악성 인플레이션으로 주기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군사정부가 인플레이션을 완화시키기 위해 과감한 개혁을 시도했지만, 1982년 포클랜드 전쟁이 일어나면서 인플레이션율이 다시 급격히 높아졌다. 1985년 실시한 아우스트랄 계획 같은 엄격한 재정정책들도 일시적 효과만 거두었으며 1990년대 중반 무렵에야 인플레이션율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전히 세출이 세입보다 많아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자주 차관을 들여왔다. 높아지는 실업률은 1990년대의 또다른 문제점이었다.

아르헨티나는 철도 체계와 도로망이 잘 갖추어져 있다. 전체 도로의 1/3가량이 포장되어 있으며 주요해항도 7개나 있다. 파라나·라플라타·파라과이·우루과이 강 등의 내륙수로는 총길이가 약 1만 1,000km에 이르지만, 그에 비해서 상업용 선박의 보유규모는 작은 편이다. 10개의 국제공항이 있으며 전천후 활주로가 상당수 있다. 전체수출은 수입액의 2배에 달한다. 주로 곡류, 신선한 과일과 채소, 석유 및 석유제품, 사료, 살아 있는 동물, 육류 및 가공육, 철과 철강제품, 가죽 및 피혁가공품 등을 수출한다. 미국·소련·네덜란드·브라질·일본 등이 주요수출국이며, 기계류·수송장비·공업화학제품·석유화학제품·주철·철강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 등을 미국·브라질·독일·일본 등에서 수입한다.

아르헨티나의 동전, 페소 (peso)

ⓒ Fat Jackey/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르헨티나 경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