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레시보 천문대

다른 표기 언어 Arecibo Observatory 동의어 미국국립천문학전리층센터

요약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시 남쪽에 있는 천문대. 정식 명칭은 미국국립천문학전리층센터이다. 미국 국립과학재단이 주관하여 운영한다. 2016년까지 세계 최대의 규모를 자랑했던 지름 305m의 전파망원경으로 유명하다. 이 전파망원경은 소행성과 행성의 연구, 펄서 관측과 중력 연구 등에 사용되어 천문학과 물리학 연구에 큰 기여를 해왔다. 2020년 노후화된 구조물의 훼손이 지속되다가 12월 1일 구조물이 붕괴되면서 구면반사경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아레시보 천문대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시

ⓒ Jakuzem/wikipedia | Public Domain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시 남쪽 16㎞에 위치한 천문대. 정식 명칭은 미국국립천문학전리층센터(NAIC, The National Astronomy and Ionosphere Center)이다.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이 주관하고 있으며 미국의 코넬대학교, 센트럴플로리다대학교 등과 공동으로 운영해왔다. 이곳에는 1963년에 가동을 시작한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전파망원경이 있다. 다공 알루미늄 판으로 이루어진 지름 305m의 구면 반사경과 반사면 위 약 168m 높이에 있는 가동 안테나에 입사전파를 모아 천체를 관측한다.

이 안테나는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하늘의 여러 영역에 있는 천체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이 천문대에 있는 지름 30m의 보조망원경은 전파간섭계로 이용되며 고출력 송신장비는 지구대기의 연구와 대기의 가열에 사용된다. 이 전파망원경은 2016년 9월 가동을 시작한 중국의 500미터구경무선전파망원경(500米口徑球面無線電望遠鏡, FAST, Five-hundred-meter Aperture Spherical radio Telescope) 이전까지 세계 최대 규모의 전파망원경이었다.

이 천문대에서는 지구의 전리권·소행성·행성 등에 대한 레이더 연구도 수행했다. 금성 표면의 상세한 레이더 지도와 금성의 자전에 대한 정밀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펄서에서 중성자별의 실마리를 탐지하여 전파천문학에 커다란 공헌을 했고, 미국의 물리학자 러셀 헐스(Russell Alan Hulse), 조지프 테일러 주니어(Joseph Hooton Taylor, Jr)의 이중 펄서 관측과 중력 연구에도 사용되어 그들이 199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그러나 이 전파망원경은 건설된 지 50년이 넘어가면서 점차 구조물이 노후되어 안전성의 문제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2020년 8월 반사면 위의 구조물을 지탱하는 철제 보조 케이블이 파손된 후 11월 6일 메인 케이블까지 파손되었다. 이어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 조사와 해체 작업을 준비하는 동안, 철제 케이블을 구성하는 철선들이 계속 끊어지다가 결국 12월 1일 철제 구조물 전체가 붕괴되면서 구면 반사경이 회복 불가능한 수준으로 파괴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아레시보 천문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