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누이

다른 표기 언어 Jean(-Marie-Lucien-Pierre) Anouilh
요약 테이블
출생 1910. 6. 23, 프랑스 보르도
사망 1987. 10. 3, 스위스 로잔
국적 프랑스

요약 프랑스의 극작가.

프랑스의 가장 개성적인 극작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작품은 아주 강한 개인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배우들, 아내들, 연인들, 비평가와 예술적 전통주의자들, 관료들에 대한 그의 반감만큼이나 강한 연극에의 애정이 깊이 담겨 있다. 또한 극중극·플래시백·플래시포워드·배역교환 등의 기법을 즐겨 사용했다. 아누이의 가족은 그가 10대 때 파리로 이사했다. 그는 파리에서 법률학을 공부하고 광고회사에서 잠시 일했으나, 18세 때 장 지로두의 〈시그프리드 Siegfried〉를 보고 연극적·시적 언어에 감동받아 연극을 하기로 결심했다.

대배우이자 연출가인 루이 주베의 비서로도 잠시 일했다.

첫 공연 작품은 〈수달모피 L'Hermine〉(1932 공연)였으며, 1937년 〈짐없는 여행자 Le Voyageur sans bagage〉로 성공을 거둔 데 이어서, 1938년 〈흔들리는 마음 La Sauvage〉을 발표했다. 아누이는 자연주의와 사실주의를 거부하고, 무대 위로 시(詩)와 상상력을 복귀시키는 극장주의(theatricalism)를 지지했다.

그는 그리스 신화를 양식화하여 이용하기도 하고, 역사를 다시 쓰기도 하고, 코메디 발레나 현대의 성격희극을 발표하는 등 기법면에서 다재다능함을 보여주었다. 그는 실존주의자 장 폴 사르트르처럼 체계적인 이데올로기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인간현실 속의 모순, 예를 들면 선과 악의 모호한 관계 등을 부각시킴으로써 자신의 인생관을 발전시켜나갔다. 그 자신이 제목을 붙인 2권의 대표 희곡집 〈장밋빛 극 Pièces roses〉·〈어두운 극 Pièces noires〉에는 비슷한 주제를 약간 가볍게 다룬 작품들이 실려 있다.

아누이의 연극에 나타나는 세계관은 개인이 행복해지기 위해 진실과 어느 정도 타협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제기한다. 그의 작품은 특권이 부여된 동심의 세계를 잃어버리게 된 어른들을 보여준다. 등장인물 가운데 일부는 이 사실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며, 〈도적들의 무도회 Le Bal des voleurs〉(1938)에 나오는 생각이 없는 사람들은 거짓말을 하며 살아간다. 한편 〈안티고네 Antigone〉(1944)의 안티고네 같은 인물들은 조금도 이상을 바꾸려 하지 않는다.

〈성(城)에의 초대 L'Invitation au château〉(1947)에서 그의 작품 분위기는 더 어두워졌으며, 〈투우사의 왈츠 La Valse des toréadors〉(1952)에서는 노부부가 죽음의 춤을 추는 것 같은 분위기가 느껴진다. 〈종달새 L'Alouette〉(1953)는 안티고네나 〈흔들리는 마음〉의 테레즈 타르드처럼 세계와 그 질서 및 흔해빠진 행복을 거부하는, 아누이가 창조한 또 하나의 반항아 잔 다르크의 정신적인 모험을 다루고 있다.

또다른 역사극 〈베케트:신의 영광 Becket ou l'honneur de Dieu〉(1959)에서는 고결한 영혼과 정치권력의 틈에서 파괴당하는 우정을 그리고 있다.

1950년대에 아누이는 자신의 세계관에 정치적 소요를 새로 끌어들여 〈불쌍한 비토 Pauvre Bitos, ou le Dîner de têtes〉(1956)를 발표했다. 1960년대에 많은 사람들은 그의 작품이 부조리극 작가 외젠 이오네스코나 사뮈엘 베케트의 작품에 비해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생각했다.

〈빵장수 가족 Le Boulanger, la boulangère et le petit mitron〉(1968)에 대한 반응은 냉담했으나, 그뒤 10년간 쓴 〈사랑하는 앙투안 Cher Antoine:ou, l'amour raté〉·(1969)·〈금붕어 Les Poissons rouges:ou, Mon père, ce héros〉(1970)·〈부인을 깨우지 마세요 Ne réveillez pas madame〉(1970)·〈오페라 연출가 Le Directeur de l'opéra〉(1972)·〈체포 L'Arrestation〉(1975)·〈공연대본 Le Scénario〉(1976)·〈헨리 4세 만세 Vive Henry Ⅳ〉(1977)·〈바지 La Culotte〉(1978) 등은 그가 대가라는 사실을 입증하기에 충분한 작품들이었다.

아누이는 영화대본도 몇 편 써서 성공했으며, 영미 극작가의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누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