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실재론의 본질과 영역

다른 표기 언어

실재론은 마음에서 독립하여 존재하는 것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근본적으로 '본성 실재론'과 '사물 실재론'으로 나뉜다. 본성 실재론에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사물 세계와는 구별되는 어떤 존재이다. 플라톤에서는 이 존재가 개별 사물들이 관여하는 형상(形相) 또는 이데아(예를 들어 인간됨·책상됨)이고 아리스토텔레스에서는 본질(to ti en einai[사물의 무엇임])이며 중세 실재론 또는 보편 실재론에서는 사물의 절대적·종적·유적 본성이다.

플라톤(Platon)

ⓒ Silanion/wikipedia | CC BY 2.5

또 과학적 관찰에서 추상한 법칙이나 이론 모형일 수도 있다. 사물 실재론에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경험의 구체적·개별적 대상이고 이 대상은 우리가 보지 않을 때에도 언제나 주요속성을 가지고 있다. 고대와 중세의 철학이론은 실재론이든 개념론이든 유명론이든 대부분 개별적·감각적 사물의 독립적 존재를 인정한다. 이런 점에서 이 이론들은 모두 사물 실재론이다. 이 실재론도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상식 실재론은 세계의 외재성을 단순·명백하게 주어진 것으로 생각한다. 신(新)실재론은 외적 대상 자체를 마음이 파악하는 유일한 실재로 본다. 비판적 실재론은 대상을 이중화해서 마음이 직접 만나는 것은 외적 대상 자체가 아니라 그 대응물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표상적 실재론은 이 대응물이 외적 대상의 표상이라고 여긴다.

이와 같이 실재론은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실재론에 대비되는 철학적 견해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본질(또는 사물의 종적·유적 본성)이 이름 이외의 어떠한 실재도 갖지 않는다고 보는 유명론이나 그런 보편성이 마음속의 개념으로만 실재한다고 인정하는 개념론과 달리 실재론은 사물의 종적·유적 본성이 마음 바깥에 독자적으로 실재한다고 주장한다. 또 관념론과 달리 실재론은 감각대상과 그 성질의 존재가 사고에 대해 외적이라고 주장한다.

대상이 연결되지 않는 감각단편들의 사적(私的) 묶음이라고 보는 현상론감각론과 달리 실재론은 대상의 기초를 실재적인 통일적·지속적 실체에 둔다. 또 과학철학에서 과학법칙과 과학이론을 과학자가 자유로이 선택한 구성물 또는 실재를 묘사할 목적으로 고안한 구성물로 보는 협약론과 달리 실재론은 법칙과 이론이 실제로 대응하는 사물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서양철학

서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실재론의 본질과 영역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